이즈미디어, CCM 검사장비 매출 급성장…올해 흑자 기대감↑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이즈미디어의 기존 사업부 매출이 급성장하며,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이즈미디어는 12일 "지난해 초소형카메라모듈(CCM) 검사장비 사업부의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00% 성장할 전망”이라며 “지난해 4분기 PO(구매주문) 물량을 고려했을 때 올해 1분기에도 급격한 매출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CCM장비 부문의 견조한 시장 수요와 회사가 보유한 원천기술의 우위가 실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확장현실(XR) 등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산업이 성장하면서 관련 하드웨어 수요도 늘고 있어 향후 이즈미디어가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존 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즈미디어는 지난해 선임한 신규 경영진과 함께 CCM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고객 다변화와 매출 안정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폭스콘, 샤프, 코웰 등의 글로벌 고객사를 신규로 확보했으며 향후에도 고객사를 추가로 발굴해 실적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CCM 관련 사업은 4차산업 시대의 핵심인 메타버스의 ‘눈’에 해당하는 시장이라고 판단”한다며 “이즈미디어의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고객사를 다각화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 결과 글로벌 메타버스 기업에 VR 관련 테스트 장비를 우수한 성적으로 납품하게 됐다”며 “향후 메타버스 하드웨어를 통한 폭발적인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02년 설립된 이즈미디어는 국내에서 파트론, 엠씨넥스, 캠시스, 나무가 등의 카메라모듈 전문기업에 검사장비를 납품 중이다. 이와 함께 중국, 홍콩, 베트남 등 해외 고객사에도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회사 측은 “사업 효율화 및 수익성 향상을 마치고 연내 흑자전환 및 본격적인 턴어라운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올해는 우호적인 업황 속에 재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즈미디어는 기존 사업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신규 진출한 NFT, 메타버스 사업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이미 개발을 완료한 NFT 플랫폼 프론트로우(FRONT ROW)를 통해 다양한 NFT 출시를 준비 중이다. 앞서 이즈미디어는 나스닥 상장기업 그린박스포스(GreenBox POS)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고 리마크홀딩스(Remark Holdings)와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미래에셋운용 ‘TIGER 200 ETF’, 코스피200 추종 ETF 수익률 1위
- NH농협금융, 하반기 "본업 경쟁력 강화·미래 성장동력 확보"
- 한화시스템, 2분기 영업이익 335억원…전년 比 60% 감소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누적 이용객 250만명 돌파
- 트러스톤운용 "태광산업 금융당국 진정서, 사실관계 심각히 왜곡"
- CSA코스믹, CB 납입 완료…잠정 대주주엔 AI社 스위트케이
- 나라셀라, K-증류주 TF팀 가동…‘K-푸드 불닭 신화’ 재현 도전
- 뉴로메카-포토네오, 협동로봇 라인업 '고성능 3D 비전 센서' 도입
- 스마트레이더시스템-뷰런테크놀로지, 센서융합 기술 협력 MOU
- 효성중공업, 중장기적 이익 개선세…목표가↑-한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27회 기장갯마을축제’ 7월 31일~8월 3일 개최
- 2정남진 장흥 물축제, 글로벌 화합의 장으로 거듭나다
- 3인천 옹진군, 복지시설 급식지원 체계 강화
- 4김찬진 인천 동구청장, 취약계층 청소 봉사 나서
- 5유정복 인천시장, 도시개발·문화현장 점검
- 6지방소멸 대응 민관기구 발족 "지역 맞춤형 균형발전 모델 제시할 것"
- 7해남군, 2027년까지 '생활인구 600만 명 시대' 연다
- 8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현장 사고 사과…"전 현장 안전 점검 착수"
- 9김철우 보성군수, 332억 원 투입 '사람이 돌아오는 보성' 실현 박차
- 10남원시, 전국 최초 '스마트경로당'…비대면진료 서비스 본격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