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외환·채권시장 안정…긍정적 외국인 수급에 기술주 중심 강세 기대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설 연휴 기간에 미국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이 3월 금리인상을 반대한다고 언급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확대 원인이 완화됐다. 이에 국내 증시는 긍정적인 외국인 수급에 따라 2,700포인트(p)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4.09p(0.63%) 오른 3만5,629.33p, 나스닥 지수는 71.55p(0.50%) 오른 1만4,417.55p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42.84p(0.94%) 상승한 4,589.38p로 장을 마치며 3대 지수는 거래일째 오름세를 보였다.
ADP는 미국의 1월 민간 고용지수가 30.1만건 감소해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발표했다. 오미크론과 겨울 폭풍이 고용 둔화로 이어지자 연준의 움직임을 제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50bp 금리인상을 반대하자 연준 위원들의 매우 공격적인 통화정책 가능성이 약화된 점도 주목해야 한다.
증권업계는 최근 시장 변화를 이끈 미국 국채 금리가 하향 안정을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한 만큼 국내증시도 관련 종목군의 상승이 전망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한국 설 연휴기간 연준 위원들이 3월 50bp 금리인상을 반대한다고 언급하는 등 그동안의 시장 변동성 확대 원인이 완화됐다”고 전했다.
이어 서 연구원은 “부진을 이끌었던 반도체 업종 등 기술 관련 종목군의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오늘 한국 증시는 큰 폭으로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외환, 채권시장 안정을 부정적이지 않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판단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설 연휴 직전 글로벌 주식시장은 혼란 그 자체였다”며 “LG에너지솔루션이라는 초대형 기업공개의 영향을 감안해야 하나 단순 조정 범위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다만 허 연구원은 “주식시장에 대한 불안심리를 나타내는 변동성 지표들은 정점에 접근 중”이라며 “본격적인 반등은 아니더라도 추가 하락은 멈출 시점이며 국내 테크, 반도체 섹터에 대한 관심을 높여갈 시점”이라고 조언했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대 은행 'LTV 담합 의혹' 2년 만에 결론내나
- '한국형 거대 AI 모델’ 구축 속도…관련株 모멘텀 부각
- 높아지는 손해율…손보사 실적 전망 '뚝'
- 한화생명, 신임 대표이사 권혁웅·이경근 취임
- '조선 기자재 통합 솔루션 기업' 에스엔시스, 공모가 3만원 확정
- NH농협카드, ‘한여름 무더위 극복 나눔행사’ 진행
- 교보생명 대산문화재단, '제33회 대산청소년문학상 수상자 선정'
- 우리카드, ‘갤러리아 Platinum 우리카드’ 출시…특급 혜택 가득
- 신한은행-신한카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캐시백 이벤트’ 진행
- KB Pay, '가입 고객 1500만명·월간 활성이용자 1000만명'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 사임…“반복된 사고에 책임 통감”
- 2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원주보훈요양원 원주시 자원봉사센터와 업무협약
- 3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폐광지역 아동·청소년 대상 역사뮤지컬 개최 ‘호응’
- 4군장병 소비쿠폰 부대 인근 사용 검토… 김진태 지사, "환영과 감사" 전국 시도에 협조 요청
- 5강원도 삼척항 조석예보, 보다 정확해질 전망
- 6정진호이펙트, 프로골퍼 신유진2 선수 후원 통해 'ABH+' 브랜드 알린다
- 7현대로템, 2분기 영업이익 2576억원 ‘역대 최대’
- 84대 은행 'LTV 담합 의혹' 2년 만에 결론내나
- 9'한국형 거대 AI 모델’ 구축 속도…관련株 모멘텀 부각
- 10높아지는 손해율…손보사 실적 전망 '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