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없이 코로나 검체"…전남대 창업기업 '구강 가글' 채취법 개발
‘콧속 면봉’ 비해 고통‧불쾌감 덜어…연구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민감도 97.8%…㈜바이오쓰리에스, 상품 '빈 가드 가글' 출시

[광주=신홍관 기자] 전남대학교 학내 창업기업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체를 고통없이 채취할 수 있는 ‘구강 가글법’을 개발하고 관련 상품까지 출시해 주목되고 있다.
전남대 학내 창업기업인 ㈜바이오쓰리에스(대표이사 김두운 교수. 식품공학과)는 작두콩의 특정 성분이 바이러스와 결합해 피부표면에 강하게 붙어 있는 바이러스를 잘 떼어내는 성질을 활용해 가글을 통해 입 안의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는 새로운 채취법을 개발했다. 또 관련 상품 ‘빈 가드 가글’을 출시해 시판에 들어갔다.
‘구강 가글’은 그동안 콧속 깊숙이 면봉을 집어넣어 검체를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피검자의 고통과 불쾌감을 없애주는 것은 물론 항원진단키트 검사에 접목할 경우 민감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진단속도와 비용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전북대병원의 김달식 교수팀(진단검사의학과)의 임상시험 결과 구강 가글은 입 속에서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어 비인두도말(NPS)-PCR법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기존 타액검체용 신속항원진단검사 보다 민감도가 최고 97.8%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Microbiology Spectrum’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바이오쓰리에스는 구강 가글 개발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전남대학교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오의료소재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해 전념해 왔다.
앞서 이 회사는 2021년 바이오소재로 손 세정제를 개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혁신제품으로 선정된 바 있고, 2017년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콩 단백질’을 연구해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뽑히기도 했다.
김두운 대표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한 진단검사를 원하는 국민청원이 올라오는 상황에서 이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조기 진단과 항원진단키트의 효율성까지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성훈 인천교육감, 허종식 의원과 공간재구조화 사업 논의
- 보성군 선관위, 보성군수 거론 A씨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검찰 고발
- 황경아 남구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선임
- 해남군, AI 데이터센터 최적지로 '솔라시도' 급부상
- “무분별한 디지털정보,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 교육해야죠”
- 김한종 장성군수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굳건한 근간"
- 조용익 부천시장, 부천시민의 날로 시민과 소통하다
- 인천시의회, 의료계와 머리 맞대고 ‘통합돌봄’ 실현 모색
- 인천시, ‘아이플러스 집 드림’으로 신혼 주거 안정 나선다
- 수원특례시,㈜보령과 민선 8기 22호 투자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