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없이 코로나 검체"…전남대 창업기업 '구강 가글' 채취법 개발
‘콧속 면봉’ 비해 고통‧불쾌감 덜어…연구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민감도 97.8%…㈜바이오쓰리에스, 상품 '빈 가드 가글' 출시

[광주=신홍관 기자] 전남대학교 학내 창업기업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체를 고통없이 채취할 수 있는 ‘구강 가글법’을 개발하고 관련 상품까지 출시해 주목되고 있다.
전남대 학내 창업기업인 ㈜바이오쓰리에스(대표이사 김두운 교수. 식품공학과)는 작두콩의 특정 성분이 바이러스와 결합해 피부표면에 강하게 붙어 있는 바이러스를 잘 떼어내는 성질을 활용해 가글을 통해 입 안의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는 새로운 채취법을 개발했다. 또 관련 상품 ‘빈 가드 가글’을 출시해 시판에 들어갔다.
‘구강 가글’은 그동안 콧속 깊숙이 면봉을 집어넣어 검체를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피검자의 고통과 불쾌감을 없애주는 것은 물론 항원진단키트 검사에 접목할 경우 민감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진단속도와 비용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전북대병원의 김달식 교수팀(진단검사의학과)의 임상시험 결과 구강 가글은 입 속에서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어 비인두도말(NPS)-PCR법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기존 타액검체용 신속항원진단검사 보다 민감도가 최고 97.8%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Microbiology Spectrum’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바이오쓰리에스는 구강 가글 개발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전남대학교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오의료소재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해 전념해 왔다.
앞서 이 회사는 2021년 바이오소재로 손 세정제를 개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혁신제품으로 선정된 바 있고, 2017년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콩 단백질’을 연구해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뽑히기도 했다.
김두운 대표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한 진단검사를 원하는 국민청원이 올라오는 상황에서 이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조기 진단과 항원진단키트의 효율성까지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자원봉사센터, 제5회 남원시자원봉사박람회 개최
- 2'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3펫보험, 치열해지는 주도권 다툼…1강 구도 흔들리나
- 4나홀로 후진했던 BNK금융…실적 반등 노린다
- 5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6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7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8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9“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10양산시, '하반기 공공근로·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