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전기·전자 폐기물 전문기업 '테스' 인수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SK에코플랜트가 글로벌 에너지 폐기물 전문기업인 테스(TES Envirocorp Pte. Ltd)를 인수하며 글로벌 IT기기 및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SK에코플랜트는 21일 싱가포르 풀러턴 호텔에서 테스의 최대 주주인 나비스캐피탈파트너스와 테스의 지분 100%(25만2,076주)를 약 10억 달러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에너지 폐기물은 폐기된 전기·전자제품을 의미하며 수명이 다한 스마트폰, 노트북, 서버·저장장치 등 폐IT기기, 폐배터리, 폐가전, 폐태양광 부품 등을 포괄한다.
테스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에너지 폐기물 분야 기업이다. 현재 북미, 유럽 등 선진국을 포함해 총 21개국 43개의 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미국, 영국, 독일, 중국, 싱가포르 등 5개국이 주요 핵심 시장이다.
지난해 매출은 약 4억6,500만 싱가포르 달러(약 4,140억 원)를 기록했으며, 세계 유수의 IT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테스의 중점 사업영역은 △전기·전자 폐기물 리사이클링 △ITAD(IT Asset Disposition, IT자산처분서비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이다.
전기·전자 폐기물 리사이클링 사업은 각종 가전, IT기기로부터 플라스틱, 코발트, 알루미늄 등 원자재와 희귀금속을 추출해 새로운 제품의 원자재로 다시 활용하는 분야다.
IT자산처분서비스 사업은 노트북, 스마트폰, 데이터센터 장비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서 각종 정보를 완벽히 파기한 후 재사용·재활용까지 지원하는 서비스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은 폐배터리의 철, 알루미늄 등 외장 소재를 1차 회수한 후 2차로 파쇄·분쇄와 습식 공정을 통해 리튬, 코발트, 망간 등 내장 희금속까지 회수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20년 국내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인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약 1조원에 인수하며 환경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지난해에만 총 6곳의 환경기업을 추가 인수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리사이클링 사업 확장을 통해 폐기물 제로와 탄소 제로가 현실화된 순환경제 모델인 제로시티를 실현하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갔다”며 “테스가 확보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글로벌 에너지 폐기물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부, '1%대 성장 전망' 원점 검토…'반도체 관세' 불확실성 커져
- 李정부 경제전략, '성장' 전면에…기업 중심으로 초혁신
- 메타, AI 음성 스타트업 '웨이브폼스' 인수
- 애플 주가, 주간 상승률 13%…5년만 최대
- 코오롱, 모빌리티그룹 100% 자회사 전환…“의사결정 속도”
- 철강 50% 관세 폭탄에…국내 철강사 “초격차 기술력으로 돌파구”
- K-배터리, 美 PFE 규제에 공급망 재편…“탈중국 가속”
- 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0%…디플레 우려 지속
- 일본 상장사 2분기 순익 3년만에 감소세…"관세 영향"
- 엔비디아, H20 AI칩 중국 수출 재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2정부, '1%대 성장 전망' 원점 검토…'반도체 관세' 불확실성 커져
- 3대구교통공사, ‘노사문화 우수기업 인증서’ 전수식
- 4영남이공대-오케스트로㈜, 클라우드 전문 인재 양성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 5李정부 경제전략, '성장' 전면에…기업 중심으로 초혁신
- 6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7메타, AI 음성 스타트업 '웨이브폼스' 인수
- 8애플 주가, 주간 상승률 13%…5년만 최대
- 9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10코오롱, 모빌리티그룹 100% 자회사 전환…“의사결정 속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