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 美 금리 인상 우려 커져…“기업 실적 이슈 주목"

[서울경제TV=최민정기자] 지난 금요일(현지시간 22일) 뉴욕 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50bp 금리 인상 발언 영향이 지속되며 2% 이상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국내 증시에도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연준의 6월 75bp 금리인상 확률이 주말을 지나며 낮아진 점과 MS, 애플, 알파벳 등 미국의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를 앞둔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시간 22일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81.36포인트(-2.82%) 급락한 3만3,811.40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2020년 10월 28일 이후 최대의 낙폭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121.88포인트(-2.77%) 하락한 4,271.78를 기록했다. S&P500 역시 지난 3월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한 것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도 335.36포인트(-2.55%) 내린 1만2,839.29에 장을 마감했다.
증권업계는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국내 증시는 개별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MS, 애플,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와 한국도 현대차, SK 하이닉스 등의 실적 발표를 앞둔 점은 우호적"이라며 "이를 감안 국내 증시는 0.7% 내외 하락 출발이 예상되나 대형주 실적 발표 기대로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주에는 애플, 아마존, MS 등(이하 미국)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예정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월말까지 연준 위원 발언이나 대형 매크로 지표가 부재하다는 점을 감안 시 주 초반 연준의 긴축 이슈를 소화하면서 시장의 무게중심은 실적 시즌으로 이동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choimj@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성 장흥군수, 폭염·가뭄 복합 재난에 '긴급 점검'…"군민 안전 최우선"
- 2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3조국혁신당 "선거제 개혁으로 내란세력 배제"
- 4李 골목 상권 회복 강조…“함께 외식합시다”
- 5북중, 여객열차 운행 재개 조율…코로나 중단 후 5년만
- 6尹 재구속 후 첫 조사 불발…14일 출석도 불투명
- 7에어인디아 추락 초기 조사 결과…"원인은 연료 스위치 차단"
- 8미-EU 무역합의 임박…농산물·자동차 관세 막판 쟁점
- 9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10오픈AI, 윈드서프 인수 무산…구글, 핵심 인재 확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