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조성목 “채무조정으로 불법사금융 유입 막아야”

▲진행: 서정덕앵커
▲출연: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대출금리가 무섭게 오르면서 대출 차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연내 기준금리가 2.50%까지 전망되고 있어 빚 있는 서민들은 연체나 부실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데요. 특히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게 생겼습니다. 조성목 서민금융연구원장 연결해 이 문제에 대해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원장님 안녕하세요.
[앵커]
한국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대출자들의 부담이 점점 한계에 이를 거란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원장님은 어떻게 보시고 계십니까.
[앵커]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4월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연 4%를 돌파하며, 8년 만에 이자 부담이 가장 커졌는데요. 서민을 중심으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보는지요.
[앵커]
연내 기준금리 2.50%가 전망되고 있어, 갈수록 빚 있는 서민들은 연체나 부실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저신용자, 다중채무자 비중이 큰 2금융권 대출자의 부실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는지요.
[앵커]
취약차주는 짧은 기간에 기준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지게 돼 불법사금융 문을 두드리는 이들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불법사금융 이용 규모와 금리 인상에 따른 이동 전망을 예측한다면.
[앵커]
대출 금리 상승 속 은행 대출 연체율이 떨어지는 게 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에 따른 착시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소상공인에서는 다중채무자가 많아 선제적 구조 조정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는데 서민금융연구원에선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윤석렬 정부에서는 ‘(가칭) 새출발기금’이란 별도의 ‘배드뱅크’설립을 준비하면서 금융권 이해 충돌 등으로 무산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부실상황을 미리 대비하자는 취지인데 원장님 시각에서는 어떤 해법으로 봐야 할지 궁금합니다.
[앵커]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이자 부담이 커지며 연체부터 불법사금융 유입, 다중채무자들의 빚 돌려막기 등 여러 부작용이 초래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막기 위한 정책적 보완방법은 없을까요.
[앵커]
치솟는 이자로 갈수록 서민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이면서 정책 보완이 더 절실해 보입니다. 원장님, 오늘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투자증권, 2026년 전망 'NH RESEARCH FORUM' 개최
- 파미셀-강남세브란스병원, '첨단재생의료 활성화' MOU 체결
- 네오펙트, 3분기 '턴어라운드' 성공…실적 반등 본격화
- KB금융, MSCI ESG평가 4회 연속 ‘AAA’ 획득
- 국내 사이버 보안 12개 기업, 투자자 대상 '공동 기업설명회' 개최
- 농협銀, NH오픈비즈니스데이 개최…강태영 행장 "든든한 파트너 될 것"
- 엔켐, 'ESS용 전해액' 공급 확대…중국 매출 비중 70%
- 뱅크웨어글로벌, MSA 기반 코어뱅킹 솔루션 ‘BX-CoCore’ 출시
- 뱅크샐러드, 데이터·AI 기반 '보험료 줄이기 솔루션' 선봬
- 네이버, 주도주 가능성 볼 시기…목표가↑-미래에셋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스코, 기술 축제 ‘테크포럼’ 개최…장인화 "혁신 기술로 위기 돌파"
- 2제주항공 "1~10월 중국노선 누적 탑승객, 지난해 추월"
- 3롯데GRS, ‘한국에너지대상’ 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 4현대百·홈쇼핑·그린푸드,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서 ‘1~2위’ 석권
- 5쿠팡, 리빙용품 할인전 ‘와우더리빙쇼’ 진행
- 6NHN클라우드, ‘AES 글로벌 어워드’ 금상 수상
- 7NHN ‘한게임 로얄홀덤’, 신규 오프라인 대회 성료
- 8GS25, 4000원대 미니케이크·1만원대 크리스마스 케이크 출시
- 9한전, K-전력기술로 북미 전력망 시장 진출
- 10네이버, ‘시티스케이프 글로벌 2025’서 도시혁신 방안 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