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제조 중소기업 80% "곡물가 급등으로 경영 악화"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식품제조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8곳이 곡물가 급등 영향으로 경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수입농산물가 급등에 따른 식품제조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식품제조 중소기업의 82.6%가 최근 국제 곡물가 급등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이로 인해 응답기업의 73.7%가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4곳 중 1곳(26.3%)은 영업이익이 20%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원재료가격은 전년대비 ‘10%이상 20%미만’ 증가할 것이란 응답이 3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곳 중 1곳 이상이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제품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원가증가분보다 적게 인상하거나 계획이 없는 기업이 73.2%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인상계획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타사 대비 경쟁력 하락 우려(58.6%)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납품처와의 관계 악화 우려(24.1%), ▲경영여건 상 감내가능(17.2%) 등 순으로 조사됐다.
국산 곡물로 교체계획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 ‘국산 원재료 가격이 높아 교체가 어려움(58.7%)’이 꼽혔다. 그 다음으로는 ‘대량납품 불가 등 수급문제(22.8%)’, ‘원료 원산지·배합 변경 시 품질유지 어려움(10.9%)’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전체의 49.8%가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확대를 꼽았으며, ▲조기공매 등 비축물량 방출 통한 시장안정(47.9%), ▲TRQ물량 확대 등 고정운용 및 비축량 확대(40.4%), ▲농산물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조정 필요(16.9%) 순으로 응답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치솟는 원재료 가격에도 불구하고 제품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는 중소식품제조업체의 고충을 외면해서는 안된다”며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요건 완화 및 농산물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 등 식품중소제조기업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과 함께 TRQ물량 확대 및 비축물량 방출을 통한 원자재 수급 안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imsou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브레빌, 28L 대용량 ‘스마트 오븐 에어프라이어 XL’ 출시
- 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LX하우시스-무브먼트랩, 인테리어 쇼룸 선보여
- 롯데건설, 혁신 오픈이노베이션 개최
- S-OIL, 에너지·환경 분야 사회적 기업에 1억5000만 원 전달
- 티웨이항공, 식목일 맞이 1000그루 나무심기 행사 진행
- LG이노텍·인텔 '맞손'…"AI 비전 검사 도입, 스마트팩토리 속도"
- SKT, 금융사·에이닷에 'AI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2주간 26건 예방”
- "티니핑, 현대차 레이서 된다"…현대차, '캐치 티니핑'과 맞손
-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인도네시아 해외사업장 현장 경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