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국 특별 기획] 찾아오는 금융으로…도시금융 재탄생

[앵커]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 발전으로 앞으로 도시 형태는 개인에 집중하는 '초맞춤화' 공간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산업도 이에 발맞춰 앞으로는 고객을 찾아가는 금융서비스들을 내놓을 전망인데요. 김미현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와 이러닝, 온라인 상거래 등이 늘어나면서 '내가 있는 일상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미래 도시는 개인의 삶에 집중하는 '초개인화·초맞춤화'를 실현하는 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미래 주거지역이 업무와 여가 기능 등 필요한 것을 모두 갖춘 공간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봅니다.
이에따라 금융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맞춤형 금융 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개인 공간에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에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이동형 영업점이 대표적입니다. 신한은행은 새로 구축 중인 부산 스마트시티에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이용해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이동형 영업점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이동형 영업점을 호출하거나 스마트 시티 내 운행하는 자율주행 버스에 설치된 영업점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이동형 영업점에는 에어 택시, 개인용 항공기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가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싱크] 정유신 /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찾아가는 서비스는 소비자가 (찾아가기 전에) 생산자가 먼저 움직인단 거잖아요. 오프라인이 좀더 커스터마이징(맞춤 서비스) 하기 위해 찾아가는데 고객만족을 위해 선제적으로 한다...”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해 집 안에서 금융 업무를 볼 수 있는 '집 안 영업점'도 미래 금융서비스 형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래 도시에 기반을 둔 초개인화 금융서비스가 멀지 않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가시화…코인 거래소 판도 바뀌나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타벅스, 패션 플랫폼과 손잡고 고객 접점 넓힌다
- 2한국마사회,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경영 인증 3년 연속 유지
- 3한국마사회, 경주마 유전능력평가 서비스 '마이K닉스' 시행
- 4세븐일레븐, 한부모가족 응원 위한 2025 모두하나대축제 참여
- 5GS25, ‘건강기능식품’ 흥행 가도…’밀리언셀러 등극 눈앞’
- 6LG, '디오스 AI 오브제컬렉션 김치톡톡’ 출시
- 7SKT, 국제사회와 책임 있는 AI 논의 확대
- 8쿠팡, 가을맞이 ‘세일 페스타’…15개 카테고리 6만여개 상품 선봬
- 9‘롯데 러브 패밀리 페스티벌’ 성료
- 10제주항공, 20개 협력사와 지속가능 간담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