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D2SF, 크리에이터 테크 스타트업 '빅크'에 후속 투자

[서울경제TV=설석용기자]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지난해 시드 투자를 한 크리에이터 테크 스타트업 '빅크'에 후속 투자했다고 9일 밝혔다.
빅크의 이번 프리시리즈A(pre-A) 총 투자 유치금은 50억 원 규모로,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리드했고 펄어비스캐피탈 등이 신규 투자자로 함께했다.
빅크는 크리에이터와 팬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라이브 플랫폼을 개발했다. 플랫폼은 크리에이터들에게 브랜드 홈 빌더, 라이브 솔루션 등을 제공하는 '빅크 스튜디오'와 팬들이 크리에이터와 소통하며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빅크 앱' 등 2가지로 구성돼 있다.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해,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를 VOD, 아티클 등 2차 저작물로 재가공해 콘텐츠 수익을 다각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빅크는 시드 투자 유치 이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 2월 베타 오픈 후 3개월 만에 약 1만 명의 회원을 확보했고, 아이키, 이슬아 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와 기존 플랫폼 대비 높은 크리에이터 수익을 거두며, 콘텐츠 수익 다각화 가능성을 검증했다.
또한, MBC, CJ ENM 등 콘텐츠 기업와 협업을 펼치는 등 B2B 분야로 크리에이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미 지난 9월에 월간 손익분기점에 도달해, 시장성 검증에도 성공했다.
이번 투자 유치와 함께, 빅크는 플랫폼을 정식 런칭해 크리에이터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빅크 스튜디오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한 신규 크리에이터 전원에게 0%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가입자당 100만 원 상당의 크리에이터 정착 지원 포인트를 지급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책을 마련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리더는 "미국 포브스에서 올해 크리에이터가 만들어 낼 시장 규모를 1,042억 달러로 추정하는 등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시장"이라며 "빅크는 베타 런칭 후 시장과 고객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경쟁 우위를 입증했고, 앞으로의 본격적인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팀"이라고 후속 투자 배경을 밝혔다.
김미희 빅크 대표는 "크리에이터 개인의 가치와 영향력은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고, 빅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개개인의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성장해나갈 것"라며 "더불어, 이번 정식 런칭을 통해 적극적으로 크리에이터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크리에이터의 수익화 모델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joaquin@sedaily.com/joaqu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무신사, 7년만 BI 변경…브랜드 리빌딩 가속
- 리스크 벗은 카카오엔터, SM엔터와 시너지 극대화
- LG전자, 신용등급 3년만 상향…“印 IPO 흥행·실적개선”
- SK이노베이션, 6000억원 CB 발행…SK온 지분매입
- 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85% …"석유화학 새 도약"
- 동성제약 “인가 전 M&A로 거래재개”…기업 정상화 의지 천명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명숙 남원시의원 "물 재이용, 미래세대 위한 투자"
- 2출렁다리 254개 시대...지역관광, 다리만 놓고 끝났나
- 3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4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5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6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7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8‘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9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10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