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 샐러드 제품 확대…"주요 사업영역으로 키워나갈 것"
샐러드 연간 판매량 100만개 돌파…전년대비 40% 신장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유통전문기업 hy는 ‘잇츠온 샐러드(샐러드)’ 판매량이 1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hy 샐러드 누적 판매량은 올해 1~10월 기준 120만 개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0%가량 증가한 수치다. 연말까지 150만 개 이상 판매할 것으로 예측된다. 매출액 또한 50억 원을 넘어서며 주요 사업군으로 성장했다.
◇‘헬시플레저’와 ‘런치플레이션’으로 수요 확대
‘헬시플레저’ 문화 확산과 현실화된 ‘런치플레이션’도 판매에 영향을 끼쳤다. hy 자체 데이터 분석 결과 체중 관리에 신경 쓰는 하절기 샐러드 판매량은 동절기보다 40% 이상 많다. 가장 많이 팔린 품목도 ‘닭가슴살 샐러드’다.
주 구매층은 3040세대다. 10월 누적 기준 전체 주문 수량의 56%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는 30대 여성이 18%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여성이 17%로 뒤를 이었다. 2021년 대비 20대 구매 비율은 2% 늘었다.
물가상승이 본격화된 5월 판매량은 14만 개로 자체 월 판매량 최대치를 경신했다.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간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30% 이상 늘었다.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신선식품지수는 동기 대비 13% 올랐다. 폭염과 폭우로 인하여 채소, 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제품군 확대로 주력 카테고리 성장"
‘프레시 매니저’가 원하는 장소로 무료 배송하는 방식과 구독 서비스도 경쟁력이다. 실제 샐러드 판매 수량에서 정기 구독 비율은 71%다. 단품 정기 배송보다는 ‘맞춤식단’ 인기가 높다. 맞춤식단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지정한 요일에 전달하는 서비스다. 맞춤식단 판매 비율은 전체 구독 판매량 중 73%에 해당한다.
hy는 고객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배송해 정기 구독 서비스를 많이 찾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직장인의 경우 사무실에서 샐러드를 받아볼 수 있어 가정에서 챙겨오는 불편함이 줄었다.
hy는 간편 샐러드와 프리미엄 샐러드로 라인업을 이원화해 고객 선택 폭을 넓혔다. 프로바이오틱스와 콜라겐을 드레싱으로 별첨한 샐러드를 선보였다. 최근에는 곤약면, 불고기, 버섯 등을 추가해 한 끼 식사로 부족함이 없는 ‘샐러드 밀(Meal)’을 출시했다. 현재 총 14종의 샐러드를 판매 중이다.
hy는 샐러드 소스팩을 비롯해 샐러드&샌드위치 박스 등 다양한 형태의 신제품을 통해 관련 제품군을 적극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이지은 hy 플랫폼CM팀장은 “맛과 가성비, 정기 무료배송의 편리함까지 갖춘 ‘잇츠온 샐러드’를 찾는 고객들이 점차 늘고 있다”며 “제품 라인업 강화를 통해 주요 사업영역으로 키워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美 3월 도매물가 전월 比 0.4%↓…에너지 가격이 하락 주도
-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유가 급락에 약세
- 김동연, 트럼프 1기 외교 전문가와 관세 대응 방안 논의
- 美 민주당 의원들 "'상호관세 유예' 정보 사전유출 여부 조사하라"
- 아일랜드 당국, 챗봇 '그록' 조사…개인정보 적법 처리 여부
- 저커버그, 트럼프 1기 출신 인사 이사회 멤버 선임
- KTL, '정책 소통 유공' 대통령 표창 받았다
- 프로야구 인기에 다음 스포츠 이용자 상승세
- 관세전쟁에 미국서 중국산 저가 공세 제동
- 트럼프 예산삭감에 '두뇌유출'…미 과학자 대거 유럽행 고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美 3월 도매물가 전월 比 0.4%↓…에너지 가격이 하락 주도
- 2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유가 급락에 약세
- 3'불법대출 의혹' 신한은행 직원 구속…특경법상 수재 혐의
- 4김동연, 트럼프 1기 외교 전문가와 관세 대응 방안 논의
- 5美 민주당 의원들 "'상호관세 유예' 정보 사전유출 여부 조사하라"
- 6아일랜드 당국, 챗봇 '그록' 조사…개인정보 적법 처리 여부
- 7정치, 민주주의 그리고 문화다양성
- 8저커버그, 트럼프 1기 출신 인사 이사회 멤버 선임
- 9KTL, '정책 소통 유공' 대통령 표창 받았다
- 10프로야구 인기에 다음 스포츠 이용자 상승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