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계열 정비 박차…자산운용도 직속으로
금융·증권
입력 2025-10-02 18:36:44
수정 2025-10-02 18:36:44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하나금융지주가 함영주 회장 2기 체제를 맞아 비은행 강화와 계열사 간 시너지 확대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손해보험·운용·NPL 회수 법인까지 줄줄이 완전 자회사화를 진행하며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하나금융지주가 손자회사인 하나자산운용을 100%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현재 하나증권이 보유한 하나자산운용 지분 전량을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올해 안에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 중입니다.
하나금융은 하나자산운용 완전 자회사 편입을 통해 KB금융·신한금융·농협금융지주가 삼파전을 벌이고 있는 ETF 시장 공략에 보다 공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400조원이 넘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비이자수익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30일에는 교직원공제회가 하나손해보험(하나손보)의 잔여 지분 8.56%를 하나금융지주에 전량 양도함에 따라, 하나금융지주는 하나손보의 지분 100%를 확보하며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지난해 NPL(부실채권) 전문 계열사 하나에프앤아이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소액주주로부터 평가액의 30%를 웃도는 가격으로 지분을 매입한 점도 주목됩니다. 현재 하나금융은 하나에프앤아이 지분 99.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함 회장 진두지휘 아래 계열사 완전 자회사화를 가속화하는 모습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밝힌 청사진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당시 함 회장은 “자생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의 M&A는 불필요하다”며 “그룹 전체의 계열사 간 시너지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하나금융의 이 같은 행보에는 그룹 내 은행 순익 기여도가 90%에 육박하지만, 대내외 환경에 따라 은행 순익 증가가 한계에 봉착한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와 함께 M&A에 따른 자본 건전성과 규제 리스크 부담이 커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계열사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실적 상승을 꾀하겠다는 전략이지만, 경기 민감도가 높거나 만성 적자로 수익성 회복이 절실한 계열사의 완전 자회사화에 따른 부담이라는 리스크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도 동시에 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한투자증권, 3분기 IRP 운용수익률 18.59%…증권업 1위 달성
- 한국거래소, '2025 건전증시포럼' 개최
- 다올저축銀, 시니어 고객 대상 '금융사기 예방교육' 실시
- 농협손보, '자율참여형 일손돕기' 프로그램 추진
- 신한카드, 직원 참여 기부 캠페인 'GIVE & RUN' 실시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집값·환율에 발 묶여 3연속 동결
- 우리투자증권, 취약계층 청년 금융 자립 지원 프로그램 가동
- 해빗팩토리, 350억 규모 시리즈D 투자 유치..."미국 이어 일본 공략 본격화"
- [속보]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연속 동결…연 2.50% 유지
- 한화손보, '좋은습관+더하기 프로젝트'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세계라이브쇼핑, 오는 25일 맨즈컬렉션 론칭
- 2엔제리너스, ‘한쌈 고추장 불고기 반미’ 출시
- 3GS샵, AI 스튜디오 고도화…1년만에 방송 적용률 60% 돌파
- 4카카오, ‘한교동 X 카카오프렌즈’ 협업 굿즈 출시
- 5CGV, ‘2025 아트하우스 독립영화 PICK’ 선정작 6편 선봬
- 6LS, 협력사 CEO 포럼 성료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동반성장”
- 7김포문화재단 '경기바다 오감 페스티벌', 플로깅 정원 조기 마감
- 8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의 지역 발전 및 경제적 파급 효과 공개
- 9신한투자증권, 3분기 IRP 운용수익률 18.59%…증권업 1위 달성
- 10한국거래소, '2025 건전증시포럼'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