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절반 이상 "2023년 경영환경 전망 어두워"

[서울경제TV=설석용기자] 우리 소상공인 절반 이상이 내년도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어두울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5일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소상공인 경영환경 전망 및 경영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23년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 소상공인은 56.0%였으며, 다소 악화 47.7%, 매우 악화 8.3%로 순으로 집계됐다.
악화를 우려하는 이유는 고물가에 따른 원가 상승과 수익 감소(52.4%),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대출상환 부담 증가(38.7%), 온라인·디지털화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한 대응능력 부족(8.9%) 등이 꼽혔다.
올해보다 2023년 경영환경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 소상공인은 10.3%에 불과했으며, 다소 개선 10.0%, 매우 개선 0.3%로 조사됐다.
개선 기대 요인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및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전망(77.4%), 새 정부의 다양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책 도입(12.9%), 향후 고금리․고물가 추세 완화에 따른 경영비용 감소(9.7%) 등 순이었다.
소상공인은 매출액, 영업이익 등 올해 자신의 경영성과를 10점 만점 기준 평균 5.36점으로 평가했으며, 올해 경험한 가장 큰 경영애로는 자금 조달(40.0%), 판로 확보(36.0%), 인력 확보(16.0%)라고 응답했다.
2023년 가장 우선시돼야 할 소상공인 지원책으로는 경영비용·대출상환 부담 완화(52.7%)가 꼽혔으며, 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사회안전망 확충(28.3%), 비대면 소비 확산에 따른 판로 확대 지원(8.7%), 공정거래 기반 조성 위한 대기업 대상 규제 강화(5.7%)가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3년간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장기화에 이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복합 경제위기로 자영업자 대출 규모가 1,000조원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만큼, 중소상공인의 경영애로가 가중되고 있다"며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를 돕고 디지털 전환 등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joaqu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번엔 이사회 진입할까”…티웨이 임시주총 ‘촉각’
- 2콜마BNH, 실적 부진 속 남매 갈등…‘경영권 분쟁’ 조짐
- 3게임업계 엇갈린 성적표…NK ‘활짝’·엔씨 ‘한숨’
- 4美 수소 생산 보조금 폐지 추진…현대차 ‘긴장’
- 5대선 부동산 공약…‘주택 공급 확대’ 한목소리
- 6'비은행 강화' 숙원 푼 우리금융, 임종룡 연임론 힘 받나
- 7삼성전자, 獨 공조업체 플랙트 인수…‘빅딜’ 신호탄
- 8또 兆 단위 유증…증권가 "포스코퓨처엠 주가 하락 불가피"
- 9롯데손보, 콜옵션 시도 후폭풍…JKL 엑시트 '시계제로'
- 10SK그룹, ‘정보보호혁신 특별위원회’ 신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