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전문가 “尹 정부 규제혁신정책 긍정적…체감은 아직”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최근 규제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2023년 정부 규제혁신정책 추진방향’을 조사한 결과, 정부의 전반적인 규제혁신정책에 대해 전문가 10명 중 6명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긍정평가 이유는 ‘규제혁신 목표설정이 잘 되었다(57.7%)’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규제혁신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표명(19.2%)’, ‘범정부적인 규제혁신 동참(11.5%)’을 꼽았다. 정권 초반 전 방위적인 규제혁신 분위기 조성과 정책의 방향설정이 잘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부정적인 의견에는 ‘규제혁신 체감도 낮음(45.5%)’,‘더딘 추진속도(27.3%)’,‘정책 구체성 부족(18.2%)’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규제심판제도, 규제혁신추진단 등 현 정부에서 신설된 규제혁신 추진제도가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시급한 규제개선이 필요한 분야로 갈등규제(26.0%)를 꼽았다. 대형마트 영업시간, 비대면 진료, 공유경제처럼 신산업과 기존 산업 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해 규제개선이 쉽지 않지만, 더 이상 외면해선 안된다는 의견이다.
다음으로 규제가 기술변화를 따라가지 못해 사업화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산업규제(21.9%), 여러 부처의 규제가 얽혀있는 덩어리규제(15.8%), 기업의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인허가 등 기업투자관련 규제(13.0%)의 순으로 응답했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적인 규제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Top5로는 정부 핵심 아젠다 설정·이해관계자 갈등조정시스템 마련·민관협력 강화·규제혁신추진체계 정비·공무원 행태개선이 꼽혔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현 정부 출범 이후 전 부처에 걸쳐 전 방위적 규제혁신의지를 보여준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실제 제도정비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신속한 개선을 바라는 민간의 기대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정부가 기업투자지원 등 지속적인 규제혁신 계획을 밝힌 만큼 제도개선에 실질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병훈, '신탁전월세 안심계약법' 대표 발의
- 사법당국 이어 금융당국도 MBK 옥죄기…금감원, MBK 산하 투자자문사 검사 착수
- 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압·여·목·성’ 토허제 1년 더 연장…‘풍선 효과’ 확산 우려
- 트럼프발 관세 충격…현대차·기아 “가격 안올린다”
- 탄핵 선고 하루 앞둔 네카오…“트래픽 폭주, 전면 대응”
- 윌라, 현대백화점서 ‘리스닝 라이브러리’ 체험 공간 공개
-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허브, 친환경 에너지 사절단 방한 행사 성료
- 기아, LG전자와 맞손…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움’ 선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