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은 전기·가스요금에…새해에도 꺾이지 않은 소비자물가

[서울경제TV=민세원기자] 치솟은 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에도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5%를 넘는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대비 5.2%로 집계됐다. 작년 8월 이후 6개월째 5%대의 물가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전월대비 물가상승률도 2018년 9월이후 가장 높은 수치인 0.8%를 기록했다.
새해 들어 물가가 오른데에는 한파로 공공요금이 오른 영향이 가장 크다.
전기·가스·수도 물가지수는 전년대비 28.3% 급등하며 눈에 띄게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보다도 4.6% 오른 수치다.
그중에서도 도시가스가 지난해보다 36.2% 오르며 가장 크게 올랐고, 전기료도 29.5% 올랐다.
특히 전기료는 지난달보다도 9.2% 오르며 전달대비 10% 가까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전기요금이 지난해 4월,7월,10월에 이어 지난달 한 차례 더 오른 영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1분기 전기요금을 킬로와트시(kWh)당 13.1원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에는 1년 동안 총 19.3원이 인상된 것을 고려할 때, 1분기에만 13.1원을 올린 건 가파른 상승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석유류 가격은 최근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상승폭이 둔화했다.
전년보다는 여전히 5% 높은 수준이지만, 지난달보다는 다소 안정되며 상승폭을 줄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유 물가지수는 지난달보다 6.6%, 등유는 3.7%, 휘발유는 0.5% 내렸다.
문제는 이번달 소비자물가지수를 끌어올리며 서민들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는 가스·전기요금이 당분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에도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전이나 가스공사의 적자가 커 인상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며 “적자가 누적된 상황인데, 다른 나라보다 전기요금 등의 인상을 늦게 시작한 만큼 빠른 시일내에 다시 낮추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yejoo050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한금융 차기 회장 후보 진옥동·정상혁·이선훈·외부 1인 등 4명 압축
- 볕 드는 줄 알았던 이차전지株, 공매도 주의보
- 토스뱅크, 임추위 가동 임박…이은미 대표 연임 유력
- 흥국생명, 이지스 최고액 베팅…태광산업 세무조사 '변수'
- '현대카드 슈퍼매치 14', 회원 대상 선예매 10분만에 매진
- 메리츠증권 PIB센터, '2026 경제전망 및 M&A 전략 세미나' 성료
- 전북은행, 고3 수험생 위한 '넥스트레벨 토크콘서트' 성료
- Sh수협은행, ‘아름다운토요일’ 행사 개최…판매 수익금 전액 기부
- IBK기업銀, IBK창공 실리콘밸리 센터 개소…"해외 진출 지원 강화"
- NH농협금융 "신성장 동력 확보 위한 ESG 비즈니스 본격 추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천시, 보호대상 아동 지원 위한 사례결정위원회 개최
- 2경주시, 글로벌 모빌리티 전략도시로 부상…‘2025 포럼’서 미래차 비전 제시
- 3'경주 찾는 이유 달라졌다'…2030은 체험, 40대 이상은 문화·역사 집중
- 4한국수력원자력, ʻ여성공학인 지원 우수기관ʼ 선정
- 5영천시, 2026년 FTA기금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신청 접수
- 6영천시, 제4차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 7한국수력원자력, ʻ새정부 동반성장정책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ʼ 시상식 개최
- 8포항시, '그래핀스퀘어 포항공장’ 준공…세계 그래핀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도약
- 9포항시, 2026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최고등급…국비 10억 7천 확보
- 10김천교육지원청, 나무 향기 속에서 배우는 위생과 소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