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석 달 연속 ↑…소비자물가 압력 불가피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화학제품과 서비스 가격 등이 오른 영향인데요. 흐름은 다소 둔화됐지만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해 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오늘(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8(2015년 100기준)로, 전월 대비 0.1% 올랐습니다. 다만 전월 상승폭보다는 0.1%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이는 농산물, 산업용 도시가스가 내렸지만 공산품(화학제품 등), 서비스(음식 및 숙박) 등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생산자물가의 오름폭은 계속 둔화되고 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7.3%에 달했지만, 올해 1월 5.1%, 2월 4.8%, 3월 3.3%으로 폭이 꾸준히 축소되는 중입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만큼 통상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즉, 선행지표로 활용되는데 생산자물가의 둔화세에 상승효과가 크진 않겠지만 여전히 오르고 있어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싱크]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당연히 생산자물가가 오르게 되면 소비자물가도 영향을 크게 주고 올라간다 … 아직도 생산자물가가 높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아직도 좀 지속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변수는 전기와 가스 등 공공요금으로 꼽힙니다. 현재 인상이 불가피한 쪽으로 공감대가 형성된 가운데 구체적인 시점은 정해지지 않아 정부가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공공요금 조정과 국제유가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돼 있어 이번달 생산자물가도 불확실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4대 금융지주, 15조 이익에도 부실 대출 급증…NPL 커버리지 ‘역대 최저’
- 2"수능 대박 기원"…유통가, 수험생 응원 마케팅 박차
- 3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4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5스타벅스, 전국 13개 매장에 크리스마스 트리 공간 조성
- 6대도시의 사랑과 죽음
- 7청년이 머무는 사회, 관계가 살아 있는 대한민국
- 8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누적 매출 3조원 돌파…내년 4조 보인다
- 9SSG닷컴, '코리아 세일 페스타' 동참
- 10기장군, 8~9일 '제6회 기장파전 축제'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