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외국인 관광객 분석…"中 바르고, 日 먹고, 美 입는데 지갑 열어"

[서울경제TV=박세아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트렌드를 분석한 ‘외국인 관광객 선호 K-상품군’ 조사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관광을 마치고 출국하는 외국인 관광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는 선호 상품부터 한국에서 경험한 쇼핑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점까지 다루었다. 조사결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상품군은 의류 및 피혁류(30.8%), 화장품 및 향수(30.0%), 식료품(29.3%) 등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보면, 최근 방한이 급증하고 있는 동남아 등 아시아 관광객은 화장품(38.5%)을 으뜸 지출품목으로 꼽았다. 이어 식료품(32.7%), 의류 및 피혁류(22.6%)에 지갑을 열었다. 반면 미주와 유럽 관광객은 의류 및 피혁류(각 39.6%)를 가장 많이 샀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수 상위 3개국인 중국, 미국, 일본 관광객이 가장 선호하는 쇼핑품목은 달랐다. 중국인 관광객의 75.8%는 화장품 및 향수 지출이 가장 컸다. 미국인 관광객의 43.4%는 의류 및 피혁류를 선택한다고 답했고, 일본인 관광객은 식료품(41.9%)과 화장품 및 향수(32.4%) 응답비율이 높았다.
쇼핑 지출규모는 평균 968달러로 권역별로는 아시아(1,038달러)가 미주(913달러)와 유럽(870달러) 보다 더 많이 지출했다. 관광객 중 가장 큰손은 중국인 관광객(1,546달러)이었다. <미국 844달러, 일본796달러>
상품선택 기준 1순위는 품질(28.5%) 이었다. 이어 브랜드(18.3%)와 한국적 상품(18.3%)인지 우선 고려했다.<가격 15.5%, 디자인12.3%, 신뢰도4.0%, 매장시설2.3%, 기타0.8> 주요 국가별로 각각 다른 특색을 보였다. 중국인 관광객은 브랜드(35.5%)를 가장 먼저 고려하는 반면, 일본인 관광객은 한국적 상품(33.8%), 미국인 관광객은 품질(39.6%)를 우선 선택 기준으로 꼽았다.
가장 즐겨 찾는 쇼핑장소도 주요 국가별로 달랐다. 중국인 관광객은 백화점(87.1%) 시내면세점(85.5%), 복합문화공간(72.6%) 순으로 응답했다. 일본인 관광객은 편의점(86.5%), 소규모상점(52.7%), 대형할인마트(51.4%)를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인 관광객은 편의점·백화점(각 62.3%), 재래전통시장(58.5%)을 자주 찾는다고 답했다. <복수응답>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브랜드를 보고 사는 과시적 소비특징을 보이고 있는 반면 실속을 따지는 일본 관광객은 한국적인 상품과 가격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상황”으로 분석했다.
한국에 방문하기 전에 온라인 K-상품을 구매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10명 중 3명이‘구매한 경험이 있었다(28.0%)’고 답했다. 온라인으로 구매해본 K-상품은 화장품 및 향수(58.0%), 의류 및 피혁류(38.4%), 과자(34.8%), 한류상품(28.6%), 라면(22.3%), 김치(14.3%) 순이었다.<복수응답>
쇼핑만족도는 89.8%로 전체적으로 우수한 수준이었다. 연령대로는 20대(92.4%)가 40대 이상(87.3%)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쇼핑목적 여행으로 한국을 추천하겠다는 의견도 20대(93.2%)가 40대 이상(78.4%)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
관광 및 쇼핑환경 개선사항으로는 언어소통(50.0%)을 여전히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83.9%)이 미국인 관광객(50.9%)보다 더 많은 불편을 호소했다. 이는 2014년 5월 대한상의가 조사한‘한국 방문 중일 관광객 쇼핑현황 실태조사’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언어소통(57.3%)을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꼽았던 것과 비교해 쇼핑환경이 크게 나아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코로나 실내마스크 해제방침 이후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며 “외국인관광객 쇼핑 활성화를 위해 국가별 K-상품 구매 행태를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고 유통하는 것은 물론 언어소통과 친절한 서비스 제공 등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 대한 보다 자세한 결과는 대한상의 유통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ps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명품감정교육, 고소득 부업 넘어 ‘1인 창업’으로 이어진다
- 함께하는 사랑밭, 'RUN&LEARN’ 기부 마라톤 개최
- 콘텐츠 소비 시대…유통·식품家, 일상과 문화를 잇는 브랜딩 전략 확산
- 조인, 일본 장어구이 ‘이나카안블랙 카바야키구이’ 롯데홈쇼핑 완판 기록
- 동일씨앤이, 글로벌 '난연 소재·덕트 인증' 동시 획득
- 구강케어 브랜드 피우마, 콜라겐 함유 신제품 출시…하이 스트리트 이탈리아 입점
- 노랑오리 농업회사법인, 캄보디아 '쿤리엄 마을'에 교육장 건립 지원
- 인스타360, 여름 맞이 ‘360 Camera Flash Sale’ 이벤트
- AI 기반 제어 기술 고도화 박차…모벤시스, 차세대 제어 솔루션 가동
- 아모레퍼시픽, 2분기 영업익 801억원…전년比 555.5%↑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도시개발공사, 폭염 취약계층 안전 위한 사회공헌 실천
- 2대구교통공사-하나은행, 지역 아동·청소년 위해 공동 기부
- 3명품감정교육, 고소득 부업 넘어 ‘1인 창업’으로 이어진다
- 4대구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 지역민 삼계탕 나눔 행사 실시
- 5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영상검사 적정성 평가 ‘1등급’
- 6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7함께하는 사랑밭, 'RUN&LEARN’ 기부 마라톤 개최
- 8콘텐츠 소비 시대…유통·식품家, 일상과 문화를 잇는 브랜딩 전략 확산
- 9조인, 일본 장어구이 ‘이나카안블랙 카바야키구이’ 롯데홈쇼핑 완판 기록
- 10동일씨앤이, 글로벌 '난연 소재·덕트 인증' 동시 획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