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에 시달리는 청년들…“2030세대 급증"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빚에 시달리다 채무조정을 신청한 청년층이 최근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금융권을 이용한 '빚 돌려막기'도 쉽지 않아지면서 이제 제도적 구제에 기대는 모습까지 보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MZ세대로 불리는 20~30세대의 채무조정 규모가 급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신용회복위원회로 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채무조정제도 신규 신청자는 6만3,000여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20~30대는 2만2,000여명으로, 전체 규모에서 35.4%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20대 신청자 증가세가 가팔랐습니다. 같은 기간 20대 신청자만 8,043명으로, 3개월 만에 지난해(1만7,263명) 신청 인원의 절반 가량을 채웠습니다.
청년층이 이용하는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유스의 대위변제도 급증했습니다.
대위변제는 차주가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이 이를 대신 갚아주고 대출 차주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제도입니다.
연령별 대위변제 수를 보면 올해 1분기 20대가 1만3,67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가 1만1,14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청년들이 채무조정까지 오게 된데는 ‘재테크 시도’ 실패가 주요 배경으로 꼽힙니다. 영혼까지 끌어 대출한다는 ‘영끌’과 빚으로 투자하는 ‘빚투’로 무리하게 주식·가상자산에 투자했다가 연체 규모가 늘어난 사례가 적지 않아서 입니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어느정도 채무조정을 통해 고금리 이자를 안정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싱크]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채무조정을 해서 고정금리로 갈아탄다면, 정부가 보증해주는 조금 낮은 금리로 갈아탄다면 매달 나가는 이자가 안정화되면 소비 계획 같은 것도 좀 안정화될 것 같고 오히려 2030대에 여유를 주지 않겠냐 …"
다만 위험자산에 투자한 사람들을 특별히 도와주는 것은 어느정도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어 2030 전세대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정책들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