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당초 예상과 달리 ‘청년도약계좌’가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출시 이후 총 6일동안 60만명 가량이 신청했는데 이런 추세라면 다음 주에는 누적 신청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청년도약계좌가 어제(22일)까지 60만명이 넘는 청년들을 끌어 모았습니다.
어제(22일)부터는 출생연도에 따른 5부제 가입 제한이 풀려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게 되면서 하루에만 20만8,000명이 몰렸습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추세라면 다음주에 누적 신청자수 100만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같이 가입신청 수요가 대거 몰린 것은 신청 방식이 매우 간편한 데다, 절차가 ‘신청 후 심사’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은행 앱을 통해 1분 안에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며, 개인, 가구 소득 등을 고려한 가입대상 해당 여부에 대한 심사는 ‘신청 이후’ 이뤄집니다. 결과는 신청 후 3주 내에 받아볼 수 있습니다. 만 19~3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일단 신청은 해볼 수 있는 겁니다.
또 정액적립식적금과 달리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고, 심지어 중간에 납입을 안해도 계좌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입부담을 낮춰줍니다.
우대금리를 못 받아도 이미 비교적 높은 기본 금리와 비과세 혜택까지 받아볼 수 있다는 점도 가입수요를 끌어올리는 요인입니다.
다만, 실질 정부기여금을 충분히 챙기려면 매달 최대한 70만원 한도를 채워야 하는데 부담감은 여전합니다.
현재 납부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 액수에 차등을 두는데 가령 총급여가 3,600만원이라면 매월 40만원을 넣을 때와 70만원을 채워서 납입할 때, 정부기여금 최대 한도가 44만4,000원이나 차이가 납니다.
5년 기간 역시 부담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습니다. 높은 혜택에도 4명 중 1명이나 해지한 ‘청년희망적금’ 전례를 본다면 향후 경기 상황에 따라 ‘해지’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은행권의 시각입니다.
이제는 ‘금리’ 보다는 ‘만기 달성’으로 시선이 옮겨지고 있는 가운데, 청년들이 꾸준히 저금해 만기에 목돈을 챙겨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중도 해지 방지’ 방안을 고심할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집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