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애국소비에 K-뷰티 밀려…“생건스님도 분통”

[앵커]
중국에서 승승장구하던 K-뷰티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애국소비 열풍으로 자국 브랜드 선호현상이 강해진 건데요, 중국향 매출이 컸던 화장품 기업 주가도 곤두박질 치고 있습니다. 최민정기잡니다.
[기자]
K-뷰티에 열광했던 중국인들이 국내 화장품에 등을 돌리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수출 화장품인 LG생활건강의 후,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는 코로나19와 한한령 이후 중국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 상반기 최대 쇼핑행사 6.18에서 국내 화장품 브랜드는 주요 순위에서 밀려났습니다. 반면 중국 브랜드의 프로야는 뷰티 순위에서 4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 화장품의 인기 부진에는 중국 화장품의 품질 향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과거 프로야 등 중국 업체들이 한국 직원들을 대거 고용하면서 한·중 화장품 업체 간 품질 차이가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이에 중국시장 매출이 컸던 기업들 주가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통상 화장품주는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로 꼽히며 실적 회복 기대감이 컸기 때문입니다.
지난 2021년, 176만원을 기록하며 황제주로 불렸던 LG생활건강의 주가는 40만원 선으로 내려왔습니다.LG생활건강의 장기투자자를 일컫는 '생건스님'도 주가 하락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중국시장이 전체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아모레퍼시픽도 상황이 비슷합니다.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이년전과 비교해 70% 가까이 추락했습니다.
증권가에선 중국향 매출이 높은 화장품주에 대한 몸값을 낮추고 있습니다. 1분기에 이어 2분기 실적 부진이 전망된다는 이유입니다.
다만 국내 화장품 기업이 중국 시장외 북미, 일본 시장에서 선전하는 만큼 K뷰티붐이 완전히 꺼졌다고 보긴 힘들다고 덧붙입니다.
[인터뷰] 김혜미/ 상상인증권 연구원
(중국 시장 회복까지) 시간은 좀 걸릴 것 같고 과거에 이제 중국에서 워낙에 핫했으니까 그래서 이제 완전히 죽었다고 보기는 좀 힘들다.
그치만 당장 중국 모멘텀으로 과거처럼 움직이지는 않는 시장이다.
일각에서는 화장품주 내에서 중국시장의 의존도가 낮은 기업들을 선별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최민정입니다./choimj@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금융 생산적금융협의회 출범…"21조 투입해 지역금융 대전환 추진"
- 한국산업은행, 5000억원 규모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 삼미금속 "AI 데이터센터 발전기 관련 제품 매출 증가"
- 애드바이오텍 "오리온아토믹스로 사명 변경"
- 네이버페이-iM뱅크, '지역경제 활성화·디지털 결제 혁신' 위한 MOU 체결
- KB국민은행, 창구 직원 대응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116억원' 예방
- 미래에셋증권, 국내 증권사 최초 '해외주식 잔고 50조원 돌파'
- iM금융그룹, 건물 랩핑에 체험 공간까지…“도심 속 민트빛 상상”
- 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 프로그램 '스캔들 Zero 2.0' 추진
- 대신증권, '고배당∙고금리 기대상품 대신에 다~이쓴' 이벤트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테이블케이, 패스페이와 국경 간 스테이블코인 협력 전략적 공조
- 2콜마BNH, 이승화·윤상현·윤여원 3인 각자대표 체제 본격 가동
- 3수앤파트너스, 대만 아시아 태평양 투자 및 혁신 개발 협회와 MOU
- 4주철현 의원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분담률 높이고 대상 지역도 확대해야”
- 5장흥군, 패류생산지역 하수도 보급사업에 국비 66억 원 확보
- 6김한종 장성군수 "안전한 환경 제공 위해 빈틈없이 확인할 것"
- 7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8명현관 해남군수 "군의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농가 조기 지원"
- 9원주시 공무원 65% “시의회와 관계 적절치 않아…개별 사업 개입 부담”
- 10더네이쳐홀딩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가을 프로모션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