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모빌리티그룹, 상반기 매출 1.1조원…"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확대"

[서울경제TV=박세아기자]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6,115억원, 영업이익 134억원, 당기 순이익 54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밝혔다. 상반기 누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1,501억원, 231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대비 매출은 13.6%(729억원) 증가, 영업이익은 39.3%(38억원) 증가한 수치다. ▲고부가가치 차량 및 친환경차의 판매 확대 ▲사업구조 효율화 및 네트워크 재편 ▲엔데믹 선언으로 인한 외부 활동 증가 등이 실적 호조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신차 판매는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이 유통하고 있는 브랜드사의 프리미엄 세단 및 SUV의 판매 호조가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끌 수 있던 동력이 됐다. 친환경차의 판매 비중이 증가한 점과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하이엔드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부분도 주효했다
세부적으로는 BMW본부의 2분기 내 BMW 5시리즈, X시리즈 등 인기 모델과 고급 차종인 7시리즈의 판매량이 매출을 견인했다. 특히, 전기차 전용 모델인 i시리즈의 경우, 전 분기 대비 두배 이상의 판매 수치를 기록하며 12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볼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꾸준한 수요와 함께 자회사 코오롱오토모티브의 판매 확대, 3년 연속 신규 등록 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롤스로이스 차량의 실적도 영향을 미쳤다. 인증 중고차 사업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중임에도 평년 수준의 거래량을 보였다.
자동차 정비 사업은 코로나 요인 해소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로 일반 정비 및 부품 판매가 확대되며 서비스 및 기타 매출의 실적을 이끌었다. 프리미엄 홈 엔터테인먼트 브랜드 뱅앤올룹슨은 홈 시어터 및 홈 오디오 등 대형 제품군과 중·소형 스피커 등에 대한 고른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BOSE는 소형 헤드폰, 이어폰 제품군의 온라인 점유율을 확대해가며 이커머스 영역 내에서 존재감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 관계자는 “비우호적인 대외환경 속에서도 상반기 고부가가치 차량 위주의 판매 확대와 사업구조의 효율화로 두 자릿수의 성장을 이뤄냈다”며, “하반기에도 매출 체력을 키우고 고객에게 보다 혁신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사할 수 있도록 신규 브랜드 및 네트워크를 지속 선보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ps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트럼프 한마디에…한화솔루션 美 태양광 전략 경고등?
- 무신사, 중고거래 ‘유즈드’ 론칭…리커머스 가세
- 노란봉투법 통과에…네이버 손자회사 ‘선전포고’
- 현대차 ‘이중고’…대외 리스크에 노조 파업권 확보
- [한미정상회담] K-원전, 美 SMR 건설 ‘교두보’ 놨다
- [한미정상회담] 韓 경제사절단 "미국에 1500억달러 투자"
- 한국수자원공사, 유망 물기업과 AI 기반 물산업 혁신 위한 민관협력 구체화
- 한수원 "협력 중소기업 기술 고도화 지원"
- 엔씨소프트, 한국정책학회와 ‘불법 사설서버 대응’ 학술대회
- 한전KDN, 'KDN 파워업 챌린지' 아이디어 공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AI와 전통 공예의 만남'…보성군, 청년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설
- 2장흥군, 요양보호사 대상 응급 교육 실시
- 3완도해양치유센터, 파격 할인 이벤트로 '두 마리 토끼' 잡는다
- 4과천시, 지식정보타운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 5화성특례시, 4개 일반구 설치 최종 승인 완료
- 6구리시, 전통시장 아케이드 전면 교체
- 7용인특례시의회 '용인 축제를 eat다' 중간보고회 개최
- 8가평군, 집중호우 아픔 딛고 ‘자라섬 꽃 페스타’ 연다
- 9부천문화재단, 벙커에 예술 불 밝히다…2025 벙커페어 개막
- 10하남시,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규제 완화·보상 개선 촉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