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켐,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기업 '티디엘' 인수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2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티디엘(TDL)’의 지분 54.56%를 198억원에 취득한다고 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엔켐은 전고체 배터리 분야의 추가 기술력 확보와 이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티디엘은 지난 2004년 설립된 전고체 배터리 및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질 개발 전문 벤처기업이다. 엔켐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티디엘 인수로 시장에서 연구·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의 분리막과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모든 소재가 고체로 구성돼, 에너지 밀도가 높고 대용량으로의 구현이 용이하다는 게 특징이다. 특히, 이온의 이동을 돕는 전해질 역시 고체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이 낮다.
티디엘은 ESS 등에 적용 가능한 자체 전고체 배터리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생산라인도 구축했다. 지난해부터 자체 개발 성공한 양산형 전고체 배터리 제품 ‘DUMU-6070150’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공장 생산 규모는 80MWh에 달한다.
티디엘은 올해 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이차전지 전문 박람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국내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로 구성된 ESS용 모듈 ‘TAM-시리즈’를 공개했다. 첫 모델인 ‘TAM-500-1’은 4Ah급 전고체 배터리를 7S(직렬) 5P(병렬) 구조로 설계한 제품으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도 탑재했다.
티디엘은 실증특례 제도를 이용해 한국전력과 지자체에 ESS용 전고체 배터리를 우선 공급하고 있으며, 고온·고압의 안정적인 방산용 배터리 납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외에도 티디엘은 향후 전기차(EV)용 모델의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인수로 양 사간 사업 시너지가 발휘돼 티디엘의 강점인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역량이 한 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 상업화 측면에서도 더욱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보다, 소형 제품에 적합한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hyk@s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민생 쿠폰 수수료 인하 협의 결렬…카드사 "역마진 우려"
-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민간앱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월 vs 10월 금리 인하 시점은?…가계부채·집값·관세 변수
- 카드·저축銀·온투·대부업까지…2금융권 가계대출 '절반 감축' 비상
- 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 국내 증시 '시총 3000조' 시대 열었다…추가 상승에 무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2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3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4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5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6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7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8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9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10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