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사, 수익·건전성 가시밭길…대손비↑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올해 상반기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순이익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연체율까지 증가해 '부실 경고음'도 커졌는데요.
기준금리 상승 여파가 전후방에서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캐피탈 업계의 가시밭길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올해 상반기 캐피탈, 리스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의 순이익이 크게 줄었습니다.
오늘(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여전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6,1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급감했습니다. 상반기를 기준으로 여전사 순이익이 1조원대로 떨어진 건 2020년(1조3,300억원) 이후 3년 만입니다.
이자, 리스, 렌탈 등 총 수익(2조1,508억원)이 늘었지만 이보다 비용(2조6,037억원)이 더 크게 늘면서 순이익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조달 비용이 올라 돈 벌기가 어려워진 가운데, 부실대출 우려도 커지고 있어 건전성 방어까지 신경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여전사의 6월말 기준 연체율은 1.78%로 전년말 대비 0.5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특히,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의 비중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9%로 전년말 대비 0.55%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이 비율이 높아진다는 건 빌려준 돈을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단 의미입니다.
돈 떼일 것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대손충당금도 증가 추세입니다.
여전사의 대손충당금은 상반기에만 8,925억원이 추가로 늘어, 총 규모는 5조원을 돌파했습니다. 6월말 기준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33.3%로 전년말 대비 3.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여기에 주요 캐피탈사들이 부동산 PF 등 기업·투자금융 비중을 높여온 점도 불안요인입니다.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할 때 수익성이 추가적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싱크] 캐피탈업계 관계자
“새로운 먹거리를 찾다가 부동산 PF 쪽으로 많이 갔고요. 그러다가 이제 상당 부분이 리스크에 좀 노출돼 있는 상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기준금리가 하락세를 보이기 전까지는 캐피탈 업계의 업황이 반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부산은행, 모바일 전용 ‘ONE주택담보대출’ 출시
- KB국민은행, 2025년 국가고객만족도 시중은행부문 1위
- 한국투자증권 GWM, 패밀리오피스 초청 연말 컨퍼런스 개최
- 모아데이타, 삼성서울병원 국제심포지엄서 AI 헬스케어 사례 발표
- 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조이웍스앤코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 매출 성장세"
- SKAI인텔리전스, ‘AI 서밋 서울 2025’ 참가
- 키움증권, 대학생 50명에 장학금 1억원 전달
- 하나자산운용, ‘하나파이팅코리아’ 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원텍, 영업이익 전년 대비 87% 증가…“글로벌 경쟁력 확보”
- 2집현전 인베스트 앤 인사이트, 엔젤 투자사로 출범
- 3한국타이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참여
- 4AI 중심도시 해남군, 공직자 역량 강화 'A.C.E 미래 양성교육' 진행
- 5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 6재택 근무 확산에 ‘공간 분리형 주거’ 급부상…화성 ‘더 스테이 새솔’ 관심
- 7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그랩바디’ 기술이전…최대 3.8조원 규모
- 8대한항공, 진에어·에어부산과 日 주요 여행사 대상 ‘부산 팸투어’ 진행
- 9김철우 보성군수 "군민 모두가 건강한 지역 공동체로 성장"
- 10쓰레스홀드 네트워크, tBTC 앱 대규모 업그레이드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