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상반기 13조 벌었다…건전성은 ‘약화’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금융지주들이 올 상반기 13조원 넘게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한 영향인데요. 순이익이 늘어난 상황에도 되레 건전성 지표는 다소 악화됐습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국내 금융지주회사들이 올해 상반기 14조원에 육박하는 순이익을 거둬들였습니다.
오늘(26일)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국내 10개 금융지주사들(KB, 신한, 농협, 하나, 우리, BNK, DGB, JB, 한국투자, 메리츠)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3조6,23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10.1%(1조2,462억원)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이는 은행·금융투자·보험 권역의 비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한 영향입니다.
권역별 순이익을 살펴보면 은행이 1조3,172억원으로 전년 보다 16.7% 늘었습니다. 금융투자는 78.7%(1조4977억원) 급증했고, 보험은 41.7%(6435억원) 증가했습니다. 반면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등은 25.1% 감소한 5,64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익이 늘어나며 양호한 실적을 거둔 상황에도 건전성은 나빠진 모습입니다.
금융지주 전체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63%로, 전년말 대비 0.1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손실흡수능력을 나타내는 대손충당금적립률도 152.9%로 전년말 대비 17.6%포인트 감소했습니다.
금감원은 “금융권역 전반의 고정이하여신 증가로 인해 금융지주회사들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의 상승 폭이 확대된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금리 등 외부 요인 변동에 대비한 위험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안정적 성장을 위한 사업 다각화 등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올 3분기 주요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줄어든 4조 3,000억원 규모의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내실 강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서울경제 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조기대선 국면에 금융 현안 동력 상실 우려
- ‘청산 기로’ 놓인 MG손보…계약이전 셈법 복잡
- 금융당국 美 관세충격에 "100조 시장안정프로그램 집행"
- 트럼프 관세發 폭락장…코스피 5%급락·환율 급등
- KB국민은행, ‘KB청소년센터’ 환경 개선 및 지원 대상 확대
- 우리금융 "비상경영 전환…美 상호관세 충격 큰 수출입기업 최우선 지원"
- 신한금융, 美 상호관세 영향 10.5조 규모 중기·소상공인 금융지원
- 이복현 금감원장 "시장 변동성 가속화…금융시스템 안정성 지킬 것"
- iM뱅크, ‘2025 적립식 펀드 가입 고객’ 경품 추첨 이벤트
- KB차차차, 중고 스포츠카 인기 1위는 ‘포드 머스탱’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도시공사-한국전력 경남본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협약
- 2경색된 남북관계內...평화경제 로드맵 제시
- 3부천시, 과학고 전무했던 부천… 과학 인재 육성 시동
- 4안산시, 사이언스밸리...첨단산업 중심지 도약
- 5한득수 임실축협조합장, KDLC 전북지역 공동대표 선출
- 6시흥시, ‘K-골드코스트’의 꿈…유령도시 ‘거북섬’ 여전
- 7남양주시, 신청사 건립…시민 편의vs예산 부담
- 8이순덕 완주군의원 “힐링 시티투어, 장애인‧어르신도 평등하게”
- 9서남용 완주군의원 “친환경농업 확대, 지속가능한 농업 기반 마련해야
- 10심부건 완주군의원 “농업 중심지 완주, 농정 형평성 위해 사무소 설치는 필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