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폴란드 바르샤바서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방안' 논의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한국무역협회(무협)는 현지시각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 한-우 뉴빌딩협회와 공동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비즈니스 다이얼로그(Rebuild Ukraine Business Dialogue)’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본 행사는 한국-우크라이나-폴란드 기업 간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만기 부회장, 포스코인터내셔널, 효성중공업, 한수원, 한진, LS, 현대건설기계 등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진출 관심 한국 기업, 폴란드기업연합과 소속 폴란드 기업,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 관계자 및 우크라이나 기업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우크라이나측에서는 올렉산드라 아자르키나(Oleksandra Azarkhina) 인프라부 차관, 겐나디 치지코프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 회장(Gennadiy Chyzhykov)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동향과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정 부회장은 “올 6월 기준 우크라이나의 직접적‧신속 피해 복구 예상액은 1,505억 달러에 이른다”며 “재건 사업이 효과적으로 추진 되려면 한국-폴란드-우크라이나 3국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올렉산드라 아자르키나(Oleksandra Azarkhina)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차관은 “한국 기업은 교통‧인프라, 신재생‧원자력 에너지, 기계, 리튬 채굴, 정유, 수자원, 지역 인프라 구축 등에 전문성과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하며, 인도적 측면과 수익성 측면에서 성공적 사업이 되도록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겐나디 치지코프(Gennadiy Chyzhykov)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 회장은“전쟁상황이 이어지며 재건 사업 규모도 늘어나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외국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마련을 위해 전쟁 리스크 보험 마련 등 다자간 투자 보호 기관과 협력을 논의하고 있고, ‘DREAM(Digital Restoration Ecosystem for Accountable Management)’을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만 그리고리쉰(Roman Grygoryshyn) 전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주정부 수석국장은 “오데사 주는 우크라이나 수출의 핵심 길목으로 교통 인프라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한 물류 능력 회복 및 연결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 품목인 곡물 경작 및 오데사 항을 통한 곡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농업 파크’ 조성 프로젝트 등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했다.
김형식 에코비스 우크라이나 법인장은 “우크라이나의 기존 물류는 오데사를 통해 키이우로 들어오는 루트(35~40일 소요)를 통해 이뤄졌으나, 전쟁 발발 이후 육로 및 철로를 이용한 그단스크(55~60일 소요), 육로를 이용한 콘스타트나(45~50일 소요) 등의 루트를 통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쟁으로 인해 무역 거래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면서 “대금 지불 조건의 경우 전쟁 전에는 선 지급 방식이 30~50%를 차지했지만 전쟁 이후에는 선 지급 방식이 100%를 차지하고 있고, 상품의 이동 기간이 15일~25일가량 증가함에 따라 물류비용도 상승했다”고 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상의 "美 대중국 디커플링 해운정책은 기회... 대형 물류기업 육성 시급"
- 현대차 美 공장 가동 20년…국내 수출·고용 ‘껑충’
- 한샘 김유진의 ‘허리띠 졸라매기’…본업 경쟁력은 언제?
- 애경, 그룹 모태 ‘생활용품·화장품 사업’ 눈물의 정리
- 롯데건설, 완판행진 제동…'김포풍무' 분양가 높았나
- AI폰 포문 연 삼성, 애플 추격 ‘예의주시’
- 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제이에스티나 대표 기소
- 소상공인연합회, 이재명 대표 만나 소상공인 위기 대책 촉구
- 오데마 피게,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