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자의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치료법은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라면 척추 질환 치료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만성질환자의 경우 외과적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 및 출혈 등의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면역력과 복용 중인 약의 내과적인 소견도 까다로워 이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 더욱 큰 문제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등을 시행해도 호전되지 않는 증상 때문에 더욱 큰 좌절감을 느끼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척추 질환 치료 방법을 선뜻 정하기 곤란한 만성질환자라면 국소마취 기반의 고주파 수핵성형술, 척추풍선확장술 시행을 고려할 수 있다.
고주파수핵성형술은 허리디스크 치료 방법으로 디스크 부위에 바늘을 삽입한 뒤 고주파 열에너지를 활용해 디스크를 정상화하는 원리다. 절개 없이 20분 정도의 짧은 시술로 만성질환자의 치료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디스크를 직접적으로 태우는 방법인 만큼 병변을 정확하게 타겟하는 것이 핵심이다. 무엇보다 시술 진행 시 다른 부위 주변 신경을 건드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마다 척추의 뼈 크기, 끝에 돌기 모양, 신경의 위치가 조금씩 다른 만큼 이를 감안해 치료하는 것이 필수다. 만약 디스크 탈출 정도가 심각한 환자라면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의료진과 면밀히 상담해야 한다.
척추풍선확장술은 풍선을 통해 협착된 부위를 넓힌 뒤 약물을 투입하는 방법이다. 척추 간격을 확장시켜 디스크 압력을 완화하고 척추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척추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협착이 심해 약물 투입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없었던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며, 국소마취로 시술 시간이 30분 내외에 불과해 만성질환자 치료 부담을 최소화한다.
다만 척추풍선확장술 역시 의료진과의 면밀한 상담과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환자는 자신의 척추 상태 및 증상을 정확히 전달하고 전문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김원영 일산하이병원 척추센터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노경태 이대서울병원 교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
-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슈퍼주니어 김희철, 서울아산병원에 1억 원 후원
- 자생한방병원 “영유아 교통사고 후유증, 한의치료로 개선”
- "젊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 임신 중 치료 포기 안 해도 된다"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자궁경부암 표적 면역치료제 개발
- 잦은 입원·응급실행…중증 천식, 약값 부담에 치료 장벽
- 고려대 의대, 美 예일대와 2025 공동포럼 개최
- 당뇨약,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 중증 천식에 생물학적제제, 효과 좋지만…"연 800만 원 약제비 부담"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8~9일 '제6회 기장파전 축제' 개최
- 2한-캐 방산협력 박람회 개최…캐나다 잠수함 사업 본격 공략
- 3지역아동센터 광주지원단, 2025년 성과공유회 개최
- 4입영의 문턱을 낮춘 현역병 입영제도
- 5한국GM, 내년 직영 서비스센터 전면 종료…협력센터 중심 체제
- 6北, 한미안보협의회 맹비난…"끝까지 대결" 위협
- 7경주새일센터, 여성 중간관리자 대상 AI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 8김천시, 깔따구 유충 정밀역학조사반 회의 개최
- 9컨트롤 유니온, ESG 진단 서비스 ‘ESG Insight Plus’ 론칭
- 10영천시, 창작스튜디오 18기 입주작가 찾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