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3월 금리 인하 없어"…"증시, 2월 약세 지속"
연준, 1월 기준금리 동결…"3월 인하설 일축"
박스피, 전망 투자전략…"종목별 비중 확대 유효"
시장 화두 ‘저PBR주’…"선별적 접근해야"
1월 韓증시 약세…코스피 -5.9%·코스닥 -7.7%
대신證"하나금융지주·현대차·LG 등 주목"

[앵커]
연초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기대했던 3월 미국 금리인하 신호는 나오지 않았는데요. 2월 국내 증시도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1월에 이어 2월 국내 증시 약세장이 전망됩니다.
지난 1월 코스피 지수는 5%가 넘게 빠졌고, 코스닥 지수는 800선이 붕괴되며 7%의 하락을 나타냈습니다.
이 가운데, 증권가는 2월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를 2,400∼2,600선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1월 증시 부진에 따른 기술적 반등은 나타날 수 있지만, 박스권을 벗어나긴 힘들다는 분석입니다.
대신증권은 "단기간에 추세 반전을 기대하긴 어렵다"며 "통화정책 기대 정상화, 중국 경기 불확실성 지속, 4분기 실적 쇼크 등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증권은 "연초 한국증시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각국 통화정책의 윤곽이 잡히는 봄에는 점차 해소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종목별 비중 확대 전략은 유효하다는 조언입니다.
증권가는 1∼2월 조정은 이보전진을 위한 일보후퇴라고 입을 모읍니다.
키움증권은 "2월에도 방향성 탐색 구간에 머물러 있을 것이며 그 안에서 개별 업종 이슈에 따라 로테이션 장세를 전개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최근 주식 시장 화두인 ‘저PBR(Price to Book-value Ratio)' 종목에 대한 선별적 접근을 조언했습니다.
대신증권은 “PBR이 1배 미만이고 시가총액이 8조 이상인 기업 중 현금성 자산, 부채총계 등을 기준으로 선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대신증권은 하나금융지주, 현대차, LG 등을 주목했습니다.
한편, 간밤 미국 연준은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3월은 첫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은 시기는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2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3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4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5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6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7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8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9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10"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