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먼저? 비율은? 은행권, 홍콩ELS 배상 놓고 눈치 싸움
은행권, 홍콩ELS 배상 규모·시기 두고 눈치 싸움
당국 “자율 배상과 배임 무관”…연일 은행 압박

[앵커]
금융 당국은 홍콩H지수 ELS 관련 자율 배상 기준안 발표 후 판매사 은행들을 향해 연일 배상 시행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은행들은 누가 먼저 배상에 나설지, 또 각 은행들이 발표할 배상 비율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눈치를 보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1일 금융감독원이 홍콩H지수 ELS 자율 배상 기준안을 발표한 후 은행들은 배상 규모와 발표 시점 등을 두고 본격적인 눈치 싸움에 들어갔습니다.
현재 은행들은 공식 입장 발표 없이, 내부 TF를 꾸리고 기준안에 따른 총 배상 규모 산정과 법적 검토 등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판매사들이 먼저 나서기보다 대세를 따라가자는 분위기라며 다른 판매사들의 동향을 보고 배상 비율 등을 정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선배상에 나설 경우 부담스러운 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금융권에서는 홍콩ELS 총 판매 규모 중 절반을 차지하는 KB국민은행의 배상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국민은행의 배상 방향이 다른 판매사들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국민은행의 홍콩ELS 판매 규모는 8조원이 넘고, 당국이 발표한 기준안을 따를 경우 배상 규모는 최대 2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판매 규모가 가장 적어 금감원 검사 대상에서 제외된 우리은행이 먼저 배상에 나설 가능성도 있습니다.
금감원이 파악한 우리은행 홍콩ELS 판매 규모는 400억 원입니다.
또,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의 행보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불완전판매에 대한 법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 배상 여부를 결정하면 배임 이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분쟁조정위원회 결과를 확인하고 배상을 진행한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당국은 홍콩ELS 관련 접수된 민원 수천 건 가운데 대표 사례를 선별하고 다음 달 분쟁조정위원회를 개최하다는 계획입니다.
당국은 자율 배상과 배임은 무관 하다며 연일 은행을 압박하고 나섰지만, 은행은 배임 이슈라는 난관을 피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불완전판매에 따른 판매사 제재와 과징금을 피하기 위해서 자율 배상에 나서야 하지만, 자율 배상이 이사회 책임 문제로 번지며 배임 이슈에 노출될 수 있어 이사회 승인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