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달러예금 9조 빠져…은행권, 건전성 관리 착수
원·달러 환율 급등…시중은행 달러 예금 인출 가속화
강달러 당분간 지속 전망…금융권 환차손 확대 가능성도
중동 불안·美 고금리 장기화 전망에 ‘강달러’ 기조

[앵커]
최근 달러 강세 기조가 이어지자 환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의 달러 예금 인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서 5대 시중은행 기준 달러 예금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9조원 넘게 줄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고환율 장기화에 대비해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원·달러 환율이 장중 한때 1,400원선까지 급등하면서 시중은행 내 달러 예금 규모도 출렁이고 있습니다.
지난 18일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달러 예금 잔액은 558억6,560만달러입니다. 우리돈 약 77조400억원 규모입니다.
지난해 11월 635억달러 규모였던 달러 예금은 매달 줄었고, 올해에만 우리 돈 9조원 이상 빠져나갔습니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3주만에 우리 돈 2조원 이상이 인출됐습니다.
달러 강세와 환율 상승 기조가 이어지자, 환차익을 노린 달러 예금 인출이 증가하고 있는 겁니다.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적립했다가 출금하거나, 만기가 도래했을 때 원화로 돌려받는 달러 예금의 주 고객은 기업입니다.
시장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란의 중동발 불확실성과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강달러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달러 예금 인출 가속화와 금융권 환차손 확대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금융권에서는 하나금융은 최대 700억, 기업은행은 400억원대, 우리금융 200억원대 환차손 규모를 추정했습니다.
금융사들은 외환 변동성에 대비한 외화 자산과 부채 등을 포함한 건전성 관리에 나섰습니다.
당장 이번 주 예정된 금융권 1분기 실적 발표에도 환차손이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