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또다시 가파른 증가세…나흘 만에 2조↑
5대 은행 가계대출 규모 710조 7,558억원…나흘 만에 2조 이상 증가
부동산 시장 회복세·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 연기 영향
신용대출도 급증…IPO 청약 수요↑·주식 투자 수요↑
금리 인하 기대감도 대출 수요 자극…한은, 기준금리 동결 전망

[앵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번 달 들어 나흘 만에 2조원 넘게 늘었습니다. 신용대출 역시 함께 증가했는데,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과 자산 시장 회복 움직임이 겹치면서 대출 수요를 자극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규모가 나흘 만에 2조원 넘게 늘었습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의 지난 4일 기준 가계대출 총 규모는 710조 7,558억원입니다.
지난달 말 기준 708조 5,723억과 비교하면, 나흘 만에 2조 1,835억원 늘어난 겁니다.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지 않던 신용대출도 이번 달 초 급증하고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이번 달 4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03조 8,660억원으로 나흘 만에 1조 879억 늘었습니다.
현장에서는 이번 달 유독 대출 증가세가 빠르게 치솟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자산 시장 회복 흐름을 지목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주택 매수 수요가 살아나고 있고, 당국의 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 두 달 연기 결정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수요를 자극했다는 분석입니다.
은행권은 또, IPO 청약 수요 증가와 증시 반등으로 인해 국내외 주식 투자 수요 증가가 신용대출 급증을 견인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도 대출 증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따라, 오는 11일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0%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가계대출 급증 속도를 고려해 기준금리까지 낮추는 결정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이억원 · 금감원 이찬진...'원팀' 생산적 금융 대전환 이루나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경협국제경영원, '2025 AI 비즈니스 과정' 개강…기술 넘어 전략으로
- 2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 배출 줄인다
- 3일요일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4'월세' 거래, 첫 100만건 돌파…'전세의 월세화' 가속
- 5LG유플러스, 방송중계·IPTV,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 6삼성전자, '아시아 공조 콘퍼런스'서 글로벌 HVAC 공략
- 7SK, 이천포럼 내일 개막…'본원적 경쟁력 강화' 모색
- 8"쉽게 AI 접하고 배운다"…SKT, ‘AI 놀이터’ 마련
- 9에쓰오일, 인천저유소 공정안전관리 최고등급 'P등급' 획득
- 10'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내년 하반기 시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