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사, 정부 압박에 티메프 소비자에 환불 시작

[앵커]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에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인 PG사들이 소비자 환불에 나섰습니다. 금융당국이 업계에 적극적인 결제취소를 압박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당국이 PG사들을 향해 결제 취소 중단이 여신전문금융법(여전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경고하자 백기를 든 건데요, PG사들은 최악의 경우 ‘티메프’로부터 정산 대금을 받지 못할 수 있어 거센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어제(28일)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이른바 ‘네카토’를 시작으로 PG사들이 ‘티메프’ 소비자 환불 절차에 나섰습니다.
네이버페이는 티몬과 위메프의 결제 내역 페이지 캡처화면을 첨부해 결제취소와 환불을 신청하면 48시간 이내에 처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페이와 토스페이도 직접 피해 소비자의 결제 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해 취소와 환불 절차를 시작했습니다.
PG사들도 결제취소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먼저 토스페이먼츠가 오늘(29일) 오전 8시부터 이의제기 신청 절차를 개시했습니다. NHN KCP도 결제 취소 지원을 위한 전용 이의제기 신청 채널을 열었습니다.
아직 취소를 지원하지 않는 PG사들도 대부분 이번 주 내로 결제취소나 이의제기 신청 절차를 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감독원은 PG사들이 당장 이번 주에 결제취소 절차를 시작하지 못하더라도 이의제기 창구는 열어야 한다고 지도할 방침입니다.
당국의 압박에 따라 PG사들은 우선 소비자 환불 조치를 진행한 뒤 티메프에 구상권을 청구해야 하는 상황.
하지만 티메프로부터 제때 정산 대금을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이라, 사실상 PG사가 손실을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싱크] 김용진 /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이렇게 해서 소비자들 피해는 막았다 치더라도 중간에 있는 시스템이 망가질 수도 있는 상황이 됐거든요. 정부 입장에서는 압박을 해놨기 때문에 뭔가 다른 수단을 써서 PG사들을 지원을 해야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완전 자본잠식 상태인 티메프가 파산 신청을 하면 PG사들은 사실상 환불금을 회수할 길이 없어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자본확충 속도 높이는 우리금융…보험사 인수 마지막 관문 집중
- '관세전쟁' 격화에 하루만에 약세장 전환
- 취임 100일 맞이한 카드사 CEO…지각변동 '분주'
- 코스피, 여전한 관세 정책 불확실성…하루만에 반락
- 수출입銀, 수출위기 대응에 총 20조원 금융지원
- "1분기 증권업 실적 시장 기대 부합…NH투자 최선호"-키움
- 하나證, CJ ENM·SBS 목표가↓…"정치 불안에 광고 부진"
- 코스피, 美中 관세 전쟁 격화에 1%대 하락 출발
- SM엔터, MD매출 확대로 실적 개선 기대…업종 최선호주-한화
- 현대차, 최대 연 8.8조 관세 비용 발생 가능성…목표가↓-신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공 던지고 100만원”…한화이글스, 시구 등 알바 모집
- 2김병주 MBK 회장 ‘찔끔’ 사재출연 논란…정치권 “3兆 내야”
- 3“이번이 마지막”…삼성전자, AP자립화 ‘특명’
- 4美 거점 없는 넥센타이어…‘트럼프 관세에 반덤핑’ 우려
- 5“상반기 1兆 약속하더니”…중기부, 벤처펀드 ‘하세월’
- 6자본확충 속도 높이는 우리금융…보험사 인수 마지막 관문 집중
- 7대만 찾은 최태원…SK, ‘엔비디아·TSMC’ 삼각동맹
- 8'관세전쟁' 격화에 하루만에 약세장 전환
- 9취임 100일 맞이한 카드사 CEO…지각변동 '분주'
- 10전북선관위 “4월 4일부터 후보자 이름 담긴 현수막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