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부동산대책] "장기 공급 계획, 집값 안정 어려워"
서울 아파트값 치솟자…정부, 공급확대 카드
그린벨트 풀어 서울·수도권 총 8만호 공급
지구지정에 토지 보상해야…"당장 공급 불가능"
정비사업 규제 완화됐지만…공사비 갈등 숙제
6년간 42만 가구 공급…법 개정 등 변수 될 듯

[앵커]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놨죠.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치솟자 공급 시그널을 줘 시장안정에 나서겠다는 건데요. 업계에선 그린벨트를 풀고 정비사업 규제를 완화해 주는 것만으론 당장 집값 안정 효과는 없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정부가 어제(8일) 부동산관계장관회의에서 주택 공급 확대카드를 꺼냈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20주 연속 상승하고 있어, 수요가 많은 도심에 아파트를 공급을 확 늘리겠다는 겁니다.
서울에서만 그린벨트 해제로 1만 호 이상, 수도권까지 합치면 총 8만호를 신규택지 조성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당장 공급을 늘릴 방안으로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신규 택지는 후보지 발표 이후 공공주택지구 지정에 토지 보상 등 실제 입주까지 8~10년 가량 걸리기 때문입니다.
[싱크]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신규 택지의 발굴과 그린벨트를 통해서 개발하는 과정이 상당히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이 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당장 시장을 잠재울만한 공급이 나오기는 어려워…”
정부가 정비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한 ‘재건축·재개발 촉진법’도 아쉽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도시정비 사업에서 용적률 상향과 의무 비율 해제, 세제 금융지원 등 가능한 수단이 동원되긴 했지만, 사업이 차질을 빚어도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 지적입니다.
최근 정비사업을 보면 자잿값이 크게 올라 공사비 갈등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정부의 기대만큼 사업 기간이 단축되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향후 6년간 42만여 가구를 신속하게 공급한다는 방침인데, 금리와 공사비 문제, 국회의 법 개정 속도 등이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문구단체 “대기업의 생계형 문구업 잠식 중단하라”
- 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 혼다,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서 모빌리티 제품·기술 공개
- CJ프레시웨이, 제4회 ‘자연스럽게 먹자’ 식습관 공모전 성료
- 도플소프트 ‘스마트무브’, 한강버스 실시간 길찾기 등 업데이트
- 삼성SDS, ‘AI 풀스택’ 역량으로 기업 고객 혁신 이끈다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구매 고객 95% "차량 만족해"
- LG전자, 식수 시설·세탁방 설치…나이지리아서 밀착형 사회공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드론·로봇·글로컬 축제…남원시, 국제드론제전 준비 총력
- 2최대 40% 혜택…장수군, 장수몰 통해 넉넉한 한가위 지원
- 3"장 담그기 문화 세계로" 순창, 발효문화 국제포럼 12일 개막
- 4순창군, 청년근로자 기숙사 조성 '순항'…정주여건 개선 기대
- 5문구단체 “대기업의 생계형 문구업 잠식 중단하라”
- 6"모두가 존중받는 성평등 사회"…임실군,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료
- 7부산도시공사 “도시재생 주민공모사업 우수사례 공유의 장 열린다”
- 8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지역민 삶에 실질적 도움 되는 정책 필요"
- 9양충모 전 새만금개발청장, 자전적 저서 '남원가는길 양충모' 출간
- 10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