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쏠림 우려…지방은행도 금리 인상 가세
경남·부산은행, 주담대 금리 0.2%p 인상…지방은행 대출 쏠림 우려 줄여
시중은행·인터넷은행 전달부터 20차례 이상 금리 인상
금융당국·은행 실무자 '가계부채 관리 실무협의회' 운영

[앵커]
지난달부터 시중은행이 일제히 대출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지방은행까지 가세합니다. 시중은행이 이달 들어서만 수차례씩 금리를 인상하면서 자칫 지방은행으로 대출 쏠림이 나타날 우려가 있기 때문으로 관측됩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권 실무자가 참여하는 가계부채 관리 실무협의회를 운영하며 가계부채 관리에 나섭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BNK경남은행이 어제(26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2%p 인상했습니다.
부산은행도 지난 14일 주담대 금리를 0.2%p 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경남은행 주담대 금리 하단은 기존 3.35%대에서 3.55%로 상승했고, 부산은행은 기존 3.1%대에서 3.3%대로 주담대 금리 하단이 올랐습니다.
올해 2분기 경남은행 가계대출은 12조7,870억원, 주담대는 9조4,156억원이고, 부산은행 가계대출은 총 19조3,288억원, 주담대는 14조7,067억원입니다.
한국은행 기준 2분기 가계대출 총 잔액은1,896조2,000억원, 주담대는 1,092조7,000억원입니다.
가계대출 총량을 놓고 보면, 경남은행과 부산은행의 비중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재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하며, 총량 줄이기에 나섰는데, 지방은행이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시중은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금리를 유지하게 됩니다.
지방은행의 이번 대출금리 인상 결정에는 지방은행 중심 대출 쏠림 현상 우려를 줄이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현재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은 전달부터 20차례 이상 주담대 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대출 기한과 한도 축소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시중은행이 참여하는 가계부채 관리 실무협의회를 새롭게 구성해 운영합니다. 금융당국과 시중은행 여신 담당 임원들이 한 달에 한 번 회의를 열고 실무차원 현황 분석과 DSR 관리에 나섭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 NH농협은행, 'APEC 2025 KOREA 성공 개최를 위한 예금' 조기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