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위상 의원 “장애인 안 뽑는 장애인고용공단, 고용률 10년새 반 토막”
공단 장애인 고용률 2014년 23.7%에서 2023년 11.6%로 반 토막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의무고용사업체 고용률은 꾸준히 증가
김위상 의원 “장애인 고용 지원 기관으로써 장애인 고용 모범 보여야”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최근 정부가 장애인 기업 수를 20만 개로 늘리는 ‘장애인 고용 육성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관련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 10년 사이 꾸준히 줄어들어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23.7%였던 공단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해 11.6%까지 떨어졌다.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한 해에만 6%포인트 넘게 주저앉으며 10%대로 진입한 뒤 하락세를 반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14년 23.7% ▲2015년 23.9% ▲2016년 23.5% ▲2017년 20.9% ▲2018년 14.2% ▲2019년 14.4% ▲2020년 14.0% ▲2021년 13.2% ▲2022년 12.1% ▲2023년 11.6%였다.
공단은 “특정업무직 도입으로 기관 인력이 763명 늘어났는데, 장애인 근로자는 22명 증가하는 데 그쳐 고용률이 하락했다”며 “업무 특성상 장애인 고용이 쉽지 않은 탓에 고용률이 떨어지는 주요 요인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특정업무직의 업무를 살펴보면 시설정비, 미화, 안내, 취업지원상담, 직업훈련상담 등 단순 운영 및 사업 지원 업무들로, 장애인이 기피하거나 고용하기 어려운 업무와는 거리가 멀었다.
같은 기간 공단의 일반직 5급(사원) 역시 장애인 고용률이 10년 새 12.7%에서 9.9%로 하락했다. 교사직 장애인 고용률도 23.4%에서 11.3%로 반 토막 났다. 다른 직군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공단의 해명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 김위상 의원의 지적이다.
공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하락하는 동안 국내 전체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체의 고용률은 2014년 2.5%에서 지난해 3.2%로 꾸준히 증가했다.
김위상 의원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되다 곧 ‘의무고용률(3.6%)은 충족했으니 괜찮다’라는 반응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장애인 고용 활성화 추세에 주무 기관이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모범을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25 방산 부품∙소재 장비 대전’ 참가
- 2아우디 코리아, 아우디 울산 전시장 리뉴얼 오픈
- 3티웨이항공, '건강하개 여행하개' 이벤트 진행
- 4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배관 건설 사업에 자동 용접 기술 도입
- 5셀레어, 기내 특화 '에어셀 트래블 쿠션' 출시
- 6풀리, 쌀 세라 수분 선크림 신제품 출시
- 7아미노리젠, 신규 마그네슘 워터 공식 출시
- 8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연 2.50% 동결…한미 금리차 2%p 유지
- 9NHN인재아이엔씨, 프라이빗 클라우드 CONE-DaaS 출시
- 10열 번째 방학 맞은 ‘배민방학도시락’...6년간 6200명에 15만 끼니 선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