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위상 의원 “장애인 안 뽑는 장애인고용공단, 고용률 10년새 반 토막”
공단 장애인 고용률 2014년 23.7%에서 2023년 11.6%로 반 토막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의무고용사업체 고용률은 꾸준히 증가
김위상 의원 “장애인 고용 지원 기관으로써 장애인 고용 모범 보여야”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최근 정부가 장애인 기업 수를 20만 개로 늘리는 ‘장애인 고용 육성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관련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 10년 사이 꾸준히 줄어들어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23.7%였던 공단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해 11.6%까지 떨어졌다.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한 해에만 6%포인트 넘게 주저앉으며 10%대로 진입한 뒤 하락세를 반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14년 23.7% ▲2015년 23.9% ▲2016년 23.5% ▲2017년 20.9% ▲2018년 14.2% ▲2019년 14.4% ▲2020년 14.0% ▲2021년 13.2% ▲2022년 12.1% ▲2023년 11.6%였다.
공단은 “특정업무직 도입으로 기관 인력이 763명 늘어났는데, 장애인 근로자는 22명 증가하는 데 그쳐 고용률이 하락했다”며 “업무 특성상 장애인 고용이 쉽지 않은 탓에 고용률이 떨어지는 주요 요인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특정업무직의 업무를 살펴보면 시설정비, 미화, 안내, 취업지원상담, 직업훈련상담 등 단순 운영 및 사업 지원 업무들로, 장애인이 기피하거나 고용하기 어려운 업무와는 거리가 멀었다.
같은 기간 공단의 일반직 5급(사원) 역시 장애인 고용률이 10년 새 12.7%에서 9.9%로 하락했다. 교사직 장애인 고용률도 23.4%에서 11.3%로 반 토막 났다. 다른 직군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공단의 해명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 김위상 의원의 지적이다.
공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하락하는 동안 국내 전체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체의 고용률은 2014년 2.5%에서 지난해 3.2%로 꾸준히 증가했다.
김위상 의원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되다 곧 ‘의무고용률(3.6%)은 충족했으니 괜찮다’라는 반응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장애인 고용 활성화 추세에 주무 기관이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모범을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원주시-한국도로공사, 남원주 나들목(IC) 진입부 차로 확장 추진
- 고창 여성시니어 합창단, 제4회 정기연주회 개최
- 김한종 장성군수 "건강한 공직문화 조성 위해 책임과 역할 다할 것"
-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최초 ‘환경교육도시’ 선정… 3년간 행정·재정 지원
- 남원시의회 '문화유산관광발전연구회', 연구성과 해단식 성료
- 진도군, 내년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 김성 장흥군수, 국회서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 '총력전'
- 농업인의 날 30주년, 발상지 ‘원주’에서 국가 기념식 개최
- 남원시, 'KTX 역세권 개발 비전' 선포…미래형 도시 혁신 가속화
- 목포시의회, 제401회 제2차 정례회 개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사이터, AI 기반 ‘아맘때’ 심리검사로 서대문구 지원
- 2'안산 반월역 동문 디 이스트', 회사보유분 임의 공급
- 3휴온스, 3분기 영업익 99억원…전년比 13.7% 증가
- 4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와 '2025 프리뷰' 성료…중소 제작사 지원
- 5라이프 네트웍스, 배우 지진희 홍보 모델 발탁
- 6한미약품, 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 7센트비, 토스 외국인 해외송금 서비스 수취 국가∙수단 확대
- 8제약바이오협-약제학회, ‘제조품질 혁신 세션’ 공동 개최
- 9종근당, ADC 항암제·경구용 비만치료제…美 학회서 연구 성과 발표
- 10원주시-한국도로공사, 남원주 나들목(IC) 진입부 차로 확장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