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코스닥 시장…감자 기업 4배 증가
금융·증권
입력 2024-11-05 17:50:22
수정 2024-11-05 18:13:29
김보연 기자
0개

[앵커]
올 하반기 코스닥 시장에서 감자 결정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연말을 앞두고 상장기업들이 관리종목 지정을 막기 위해 고강도 처방을 내린 것입니다. 자본잠식 해소와 누적 결손금 보전을 위해 대규모 감자를 결정한 것이라 하반기 코스닥 시장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보이는데요. 각별한 투자 유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보연 기자입니다.
[기자]
위기의 코스닥 시장입니다. 하반기 실적 악화가 예상되면서 결산 시즌을 앞두고 증시 퇴출만은 피하기 위해 상장사들이 애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에 한창인데, 극약처방인 감자를 결정한 상장사들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감자 결정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모두 41곳입니다. CNH의 경우 보통주 20주를 동일한 액면주식 1주로 무상병합하는 방식의 감자로 인해 자본금이 무려 95%나 급감하게 됩니다. 사유는 누적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입니다. 결손금은 영업 부진으로 인해 누적된 손실로 기업의 자본금이 줄어든 액수를 뜻합니다.
노블엠앤비도 같은 사유로 액면가 1,000원인 보통주 8주를 동일한 액면주식 1주로 병합하는 감자를 결정해 자본금이 87.5%나 축소되었습니다. 올리패스도 상장폐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10대 1 무상감자에 나섰습니다. 자본금은 기존 203억원에서 20억원으로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 감자 결정 공시(11건)와 비교해 4배 가까운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감자는 경영난에 빠진 한계 기업들이 자본잠식과 관리종목 지정을 막기 위해 활용하는 극약 처방인데요. 이 때문에 감자는 기업 재무 상황에 대한 적신호인데다 발행주식수 감소로 유동성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무상감자는 투자자들에게 굉장히 큰 투자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사안"이라며 "특히나 코스닥 시장에서 무상감자를 실시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향후 경기 전망과 기업 실적 악화 가능성을 신중하게 판단해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주주의 희생을 담보로 진행되는 감자, 기업 입장에선 재무 구조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지만 투자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투자 유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제언입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영상편집 김가람]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두천시-신한대, 지역 혁신 맞손
- 2장수군, ‘2025 풍년기원 영농발대식’ 성황리 개최
- 3장수군, 찾아가는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 교육 추진
- 4순창군, 100억 규모 ‘농촌공간정비사업’ 최종 선정
- 5순창군 보건의료원, 온기곤 신임 원장 취임…"지역사회 건강 증진 힘쓸 것"
- 6순창군, 제2회 청소년어울림마당 'YF'…청소년 공연팀 모집
- 7순창군의회, 2024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6명 위촉
- 8남원보호관찰소 보호관찰위원 협의회 새 출발…양장욱 회장 취임
- 9소호은행 컨소 “소상공인 위한 은행 되겠다”
- 10코오롱글로벌·동부·금호건설 적자 전환…위기설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