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마라톤 3년 연속 골드라벨의 영예
전국
입력 2024-12-16 09:58:40
수정 2024-12-16 09:58:40
김정희 기자
0개
2025대구마라톤대회 3년 연속 골드라벨 획득
국내 최대 규모, 마스터즈 참가자 40,130명 조기 접수 마감
[대구=김정희기자] 대구광역시는 내년 2월 개최 예정인 ‘2025대구마라톤대회’가 세계육상연맹(WA)에서 인증하는 골드(Gold)라벨 대회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골드라벨은 전 세계 1,100여 개 마라톤대회 중 코스와 참가선수 등 철저하고 엄격한 평가 기준을 충족해야 선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구마라톤대회는 2023년과 2024년에 이어 3년 연속 골드라벨을 획득한 것으로, 특히 전년 대비 골드라벨 인증대회가 20개 줄어든(45개→25개) 상황에서도 다시 한번 라벨을 인증받아 대구마라톤의 국제적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가 접수는 지난 9월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예정돼 있었으나, 12월 12일(목) 기준으로 40,130명이 접수해 조기 마감됐으며, 종목별로는 풀코스 13,023명, 하프코스 6,924명, 10km 14,203명, 건강달리기 5,980명이 접수했다.
지역별로는 대구 1만 7천547명(44%), 다른 지역 2만 2천268명(55%) 및 해외 315명(0.8%)이며, 연령별로는 30대가 1만 1천803명(34%)으로 가장 많고, 40대 1만 1천236명(28%), 20대 6천822명(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5대구마라톤은 마라토너들이 최적 컨디션에서 달릴 수 있도록 경기일을 4월 첫째 주 일요일에서 2월 넷째 주 일요일로 변경해 개최할 예정임에 따라 전국의 마라토너들로부터 참가 열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대구마라톤이 3년 연속 골드라벨을 인증받은 것은 모두 대구시민들의 관심과 협조 덕분이라고 생각한다”며, “2025년 대회를 통해 대구가 ‘국제육상도시’로서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고, 세계 속에서 주목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골드라벨은 전 세계 1,100여 개 마라톤대회 중 코스와 참가선수 등 철저하고 엄격한 평가 기준을 충족해야 선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구마라톤대회는 2023년과 2024년에 이어 3년 연속 골드라벨을 획득한 것으로, 특히 전년 대비 골드라벨 인증대회가 20개 줄어든(45개→25개) 상황에서도 다시 한번 라벨을 인증받아 대구마라톤의 국제적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가 접수는 지난 9월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예정돼 있었으나, 12월 12일(목) 기준으로 40,130명이 접수해 조기 마감됐으며, 종목별로는 풀코스 13,023명, 하프코스 6,924명, 10km 14,203명, 건강달리기 5,980명이 접수했다.
지역별로는 대구 1만 7천547명(44%), 다른 지역 2만 2천268명(55%) 및 해외 315명(0.8%)이며, 연령별로는 30대가 1만 1천803명(34%)으로 가장 많고, 40대 1만 1천236명(28%), 20대 6천822명(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5대구마라톤은 마라토너들이 최적 컨디션에서 달릴 수 있도록 경기일을 4월 첫째 주 일요일에서 2월 넷째 주 일요일로 변경해 개최할 예정임에 따라 전국의 마라토너들로부터 참가 열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대구마라톤이 3년 연속 골드라벨을 인증받은 것은 모두 대구시민들의 관심과 협조 덕분이라고 생각한다”며, “2025년 대회를 통해 대구가 ‘국제육상도시’로서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고, 세계 속에서 주목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희망2025나눔캠페인' 역대 최고 실적 올려
- 2SMC “운용 가능한 자금으로 영풍 주식 매입…적법하게 취득”
- 3광주시, 올해 44억 투입 도시숲 22개 만든다
- 4전남 함평 종오리농장서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 5총성 없는 관세전쟁…트럼프 선공에 캐·멕·中도 보복관세 선언
- 6美 의료수송기 추락 사고 사망자 7명으로 증가
- 7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해상기반 3축 체계 핵심 전력
- 8권영세·권성동, 내일 尹대통령 면회…"인간으로서 당연한 도리"
- 9"안방 시장도 직격탄인데…"트럼프 관세 강행에 美 내부서도 "재고해야"
- 105대은행 가계 대출 열달만에 감소…이달 금리인하 가능성도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