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가계 대출 증가세 '고삐'…올해 은행 대출 어렵다

금융·증권 입력 2025-02-02 13:20:17 수정 2025-02-02 13:21:42 김보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은행별 가계대출 목표치 잠정 결정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 3.8% 내로 관리
2금융권·지방 대출엔 인센티브

대출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올해 시중은행서 가계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지난해보다 정책대출 외 자체 가계대출 증가율을 낮게 관리하겠다고 밝히면서다. 

다만 지방지역 대출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지난해 대출을 줄였던 2금융권의 경우 가계대출을 늘리게 한단 방침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점검 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가계부채 관리 세부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은행별로 금융당국이 제시한 원칙에 따라 가계대출 목표치를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인 3.8% 내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총량적으로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율 범위 내로 관리한다는 현재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경상성장률이 정부 전망치 기준 지난해 5.9%에서 올해 3.8%로 낮아진 만큼, 지난해보다 올해 은행들의 자체 가계대출 절대 금액은 늘어날 수 있지만 증가 속도는 작년보다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올해 금융권 전체를 대상으로 월별로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한단 방침이다. 지난해 8월과 같은 쏠림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주택 거래가 크게 늘면서 지난해 8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역대 최대로 불어났다

실제로 지난해 말 정책대출을 포함한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41조원으로 전년보다 46조원 불었다. 2021년(71조8,000억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증가 기록이다. 이중 은행권 자체 대출은 정책대출 20조5,000억원가량을 제외하면 25조7,000억원 가량 된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자체 가계대출은 전년비 14조6,800억원 늘어 당초 은행들이 정했던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11조3,569억원)를 29% 웃돌았다.

다만, 금융당국은 지난해까지 3년째 대출을 줄여온 2금융권에는 올해 대출목표치를 작년보다 늘려 잡도록 관리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2금융권이 서민 자금공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회사별 가계대출 목표치를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2금융권은 상호금융권을 중심으로 2022년 6조원, 2023년 27조원, 지난해 4조원 가계대출을 축소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10월 2조7,000억원, 11월 3조2,000억원, 12월 2조3,000억원 각각 늘어난 바 있다.

지방 대출 증가 속도에도 예외를 둔단 계획이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방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경상성장률보다 조금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불확실성이 커서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하지 않겠지만, 하반기가 관건"이라며 "기준금리 인하 전망과 맞물려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보연 기자

boyeo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