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지난해 북미 트랙터 시장점유율 8.7% 달성 '역대 최대'
경제·산업
입력 2025-02-13 10:14:00
수정 2025-02-13 10:14:00
고원희 기자
0개
美 서부 창고 개설·高상품성 신제품 출시
올해 북미 시장 점유율 10% 목표
![](/data/sentv/image/2025/02/13/sentv20250213000042.800x.0.png?v=381574)
[서울경제TV=고원희 인턴기자] 미래농업 리딩 기업 대동은 2024년 북미에서 100마력 이하 트랙터 시장 점유율(M/S) 8.7%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북미 점유율 8.7% 달성은 2023년보다 0.5%p 증가한 수치로, 북미 트랙터 시장 전체 규모가 2023년 대비 13% 감소한 상황 속에 이룬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특히 이는 대동이 1993년 북미 법인 설립 이후 달성한 최대 기록이며,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반증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북미 농기계 시장 점유율 성장 배경으로는 전략적인 판매 프로모션 강화 및 판매금융 확대가 꼽힌다. 대동은 장기 재고품 특가 판매나 계절 특화 프로모션 등 적극적인 판매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8월에는 점유율이 9%대를 넘어섰고, 11월에는 11.59%로 연중 최고 기록을 세웠다. 또 무이자 할부 기간을 늘리고, 이자율을 인하하는 금융 서비스 프로그램 확대로 북미 소비자들의 트랙터 구매 부담을 낮췄다.
더불어 중형 트랙터 시장 M/S 확보를 위해 60~70마력대 RX40 트랙터를 새롭게 출시하며 라인업을 보강,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혔다는 평가다.
대동은 2024년의 성장을 발판삼아 올해 북미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동부 중심이었던 북미 사업을 전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워싱턴주 텀워터에 신규 창고를 개설하고 서부 지역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오는 4월 오픈 예정인 서부 창고는 2만9421㎡(8900평) 규모로, 트랙터 3200대를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이며 연 2000대의 작업기를 조립할 수 있는 설비 캐파를 갖추고 있다. 이 신규 창고는 대동의 북미 서부 지역 공략 거점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와 연계해 대동은 북미를 미국 4개 지역과 캐나다 등 총 5개 구역으로 나누고 권역 별 차별화 전략에 나선다. 대동은 각 지역마다 재배되는 주요 품종과 수요가 높은 트랙터 라인을 자체적으로 분석했다.
가령 중서부 쪽은 옥수수, 밀 최대 생산지로 중대형 트랙터 수요가 높고, 반대로 동부는 다양한 과일 농사 위주로 중소형 트랙터가 많이 쓰인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각 지역별 특화 프로모션을 진행해 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또 현재 딜러가 없는 지역에는 신규 딜러를 발굴해 시장 확대를 꾀하고, 기존 딜러 육성을 통해 판매 채널도 강화한다.
상반기 소형 및 중대형 트랙터 신제품 출시에도 박차를 가한다. 20마력대 CS 시리즈에 동급 최초 캐빈을 적용한 신제품은 에어컨, 디스플레이 오디오, 후방 카메라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을 갖추고 있으며, 또 20~40마력대 CK 시리즈의 신모델은 신사양 및 고급 내장재로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대동은 신제품 2종을 통해 소형 트랙터 라인업을 강화하는 한편 카이오티 브랜드가 북미에서 갖고 있는 60마력 이하 트랙터에 대한 시장 지배력을 공고화 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12.3인치 모니터, 캡 서스펜션, 통풍시트, 이지스톱 등 작업 성능과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130~140마력대 HX프리미엄 모델을 출시해 대형 트랙터 사업 활성화에 나선다.
다양한 신사업도 전개한다. 먼저 올해 북미에 판매되는 트랙터 전 기종에 텔레매틱스(TMS) 장치를 부착할 방침이다.
대동은 지난해 11월 TMS 장치와 연동되는 ‘카이오티 커넥트’ 앱을 북미에 출시했으며, 올해 앱 내에서 소모품 교체 주기에 따른 사전 알람 기능 및 부품 주문, LLM 서비스 고도화 등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 현지 작업기 협력사 신규 개발로 고객 니즈에 맞춘 다양한 라인업을 완비하고, 트랙터와 작업기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박준식 대동 북미법인장은 “올해 판매 채널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서비스에 주력해 북미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한다”며 “2024년도 북미 사업 리빌딩을 추진했고 이를 기반으로 M/S 10% 이상을 달성해 톱 티어(Tier) 브랜드로 북미 시장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동은 미국 건설·농업·산업용 장비제조업협회인 ‘AEM(Association of Equipment Manufacturers)’이 제공하는 전체 트랙터 판매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월 자사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고 있다. AEM이 발표하는 산업 내 전체 판매량 및 시장 규모 데이터를 모수로 삼아 대동의 판매량을 더해 시장 점유율을 산출한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 작년 매출 역대급…"구조조정 여파에 영업익 50.9%↓"
- 공영라방, 지역 경제 활성화 위한 청주 현장라이브 진행
- 넷마블 작년 영업이익 2156억원…흑자 전환
- 온누리상품권 1조원 판매…"편의성 개선·사용처 확대 주력"
- "신약개발 활성화, '합리적 약제비 정책'서 해법 찾는다"
- LG CNS, 델 테크놀로지스와 AI 사업 동맹 강화
- 한온시스템, S&P 지속가능경영 연례보고서 2년 연속 등재
- 금호타이어, ‘중국 창의 디자인’ 우수 작품상 수상
- LIG넥스원, 중동 지역 종합방산전시회 ‘IDEX 2025’참가
- "부산 광안대교 달린다"…벤츠 ‘기브앤 레이스’ 4월 6일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T, 작년 매출 역대급…"구조조정 여파에 영업익 50.9%↓"
- 2공영라방, 지역 경제 활성화 위한 청주 현장라이브 진행
- 3넷마블 작년 영업이익 2156억원…흑자 전환
- 4고병일 광주은행장, 저출생 위기 극복 금융권 릴레이 챌린지 동참
- 5우리금융, 사외이사 연수 통해 지배구조 선진화 나선다
- 6코스피 1.3% 올라 2580대 마감…코스닥도 상승
- 7온누리상품권 1조원 판매…"편의성 개선·사용처 확대 주력"
- 8"신약개발 활성화, '합리적 약제비 정책'서 해법 찾는다"
- 9부산항만공사, 창원시로부터 사회공헌 유공 감사패 받아
- 10LG CNS, 델 테크놀로지스와 AI 사업 동맹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