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첫 이사장 직선제…'투명한 중앙회' 성공할까
금융·증권
입력 2025-03-05 18:40:09
수정 2025-03-05 18:40:09
김도하 기자
0개

[앵커]
오늘(5일) 새마을금고 역사상 처음으로 전국 동시 이사장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부정선거를 방지하기 위해 직선제를 도입한 이후 실시한 첫 선거인데요. 금권선거 등 부정선거로 얼룩졌던 새마을금고가 직선제를 통해 ‘투명한 중앙회’로 거듭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늘(5일) 전국 새마을금고 동시 이사장 선거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리하에 처음 실시됐습니다.
그동안 각 금고를 관리하는 이사장 선거는 금고별로 대의원을 통한 간선제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그 과정에서 입후보 예정자가 금고 회원들에게 상품권과 돈 봉투 등 금품을 제공하는 금권선거가 관행적으로 이어지자 지난 2021년 법 개정을 통해 직선제 도입이 결정됐습니다.
오늘 이사장 선거가 열린 금고는 전체 1276곳 중 1101곳. 이사장 입후보자는 1541명, 평균 경쟁률은 1.41대 1입니다.
직장 금고와 이사장을 선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금고 등 175곳은 이번 선거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금고 자산이 2000억원 이상인 금고는 직선제가 의무지만, 2000억원 미만인 금고는 개별 정관에 따라 원하는 선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534곳은 회원 직선제로, 563곳은 간선제로 진행됐습니다. 나머지 4곳은 회원 총회로 이사장을 결정합니다.
하지만 단일 후보가 출마해 무투표 당선이 확정된 곳이 743곳에 달해 직선제가 이뤄진 금고는 208곳에 불과했습니다. 선거법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무투표로 당선됩니다.
새마을금고는 각종 금융 사고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 등을 겪으며, 고객 신뢰 회복과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습니다.
첫 직선제로 선출돼 임기 1년을 남겨둔 김인 중앙회장은 ‘투명한 중앙회’를 목표로 내걸고 이번 선거 관리에 공을 들여온 상황.
하지만 일각에선 실제로 직선제가 이뤄진 금고가 전체 대상 금고 5곳 중 1곳에 그쳐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취재 오승현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키움증권 '먹통'…"또 '사고'有, 더 불안"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유족 인터뷰 "시간 흘러도 눈물은 멈추지 않아요" 유가족들, 참사 잊혀지는 게 가장 두렵다 사고 원인 조사와 특별법 제정 등 시급
- 2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 3제주항공 참사 100일…무안공항서 열린 눈물의 추모제
- 4‘닌텐도 스위치 2’ 판매 코앞…국내 게임사 이식 가능성은
- 5고용부 창원지청, 산불 사망 사고 관련해 중처법 위반 여부 본격 조사
- 6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00일 추모식 엄수
- 7현대차, 車관세에도 美시장서 두 달간 가격 인상 안 할 것
- 8용인시, 체납자 압류 동산 자체 공매시스템 구축 계획
- 9변덕스러운 날씨에 유채꽃축제 2년 연속 불발
- 10조기 대선으로 학교 학사일정도 변경 불가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