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데이 “韓기업, 경제 성장 촉진 위해 스킬 기반 채용 우선”
경제·산업
입력 2025-04-08 15:47:36
수정 2025-04-08 15:47:36
정창신 기자
0개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한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스킬 기반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업 인사·재무 관리 AI 플랫폼 기업 워크데이(WDAY)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스킬 현황 보고서(The Global State of Skills)’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의 대다수(80%) 리더들은 스킬 기반 조직으로의 전환이 경제 성장 잠재력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믿고 있으며, 기본적인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더 높은 수준의 혁신과 창의성을 꼽았다.
스킬 격차와 미래의 인재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기업들은 직책, 학위, 이전 근무 이력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인재 관리 접근 방식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다. 대신, 기업들은 스킬 기반 인재 전략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개인의 능력을 전통적인 자격보다 우선시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더욱 민첩한 인재 배치와 데이터에 기반한 인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킬 기반의 전략으로의 전환은 인공지능(AI)의 부상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AI가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면서, 국내 기업들이 이러한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AI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업무 현장에서의 스킬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AI가 스킬 기반 인사관리 전환 가속화”
AI는 이러한 전환을 촉진하는 촉매제이자 조력자로 작용하고 있다. AI의 도입으로 직무가 변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이를 통해 더욱 민첩한 스킬 기반의 인력을 구축하고 있다. 국내 리더들은 AI를 활용해 스킬 기반 인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잠재적 이점으로 일상적인 업무의 간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65%)을 꼽았다.
이를 통해 직원들은 보다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며, 기업이 스킬 기반 접근 방식의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응섭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국내 기업의 리더들은 AI 시대를 맞이해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스킬 기반 전략의 힘을 인식하고 있다”며, “기업은 스킬을 우선시하고 AI를 활용해 일상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 및 혁신 수준을 또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 지사장은 “이러한 전환을 위해서는 리스킬링(Reskilling)에 대한 역량 집중과 직원들이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명확한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궁극적으로 스킬 우선의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국내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을 헤쳐 나가고 디지털 경제 시대에 사업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술만으론 스킬 기반 전략을 촉진시킬 수 없어”
스킬 기반 전략의 추진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은 직원 리스킬링에 필요한 시간(48%)이 가장 큰 도전 과제라고 언급했다. 그 다음으로는 변화에 대한 저항(44%)이 주요 장애요인으로 지적됐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이러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려면 사고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혜택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60%)과 직원들의 지원 및 참여(50%) 유도가 조직 내 채택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韓 장제사 대표단, 호주 국제장제사대회서 역대 최고 성과
- 지홈랩스, 새 예능 ‘개와 늑대의 시간’에 제품 협찬
- 무역보험공사, 기술보증기금과 감사업무 협력
- 허스크, ‘맥세이프 스마트톡 프로’ 특허 취득
- 한국마사회, 야간 경마 시행…10월 4일까지 6주간 진행
- '미국·일본·홍콩' 세계 명문 경마장이 말하는 경마 문화
- 마사회, '공정·건전한 경매문화' 정착 위해 불공정 거래 근절
- ㈜LG, 2500억 규모 자사주 소각…첫 중간배당 실시
- 마사회, 코리아컵·스프린트에 해외 출전마 8두 확정
- 엠와이소셜컴퍼니, 메트라이프생명과 오픈 소셜 이노베이션 사례 공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