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표號’ DB손보 '실적 뻥튀기’ 후폭풍...메리츠에 2위 위협

금융·증권 입력 2025-04-14 17:37:27 수정 2025-04-14 18:37:30 김도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정종표號’ DB손보 ‘실적 뻥튀기’ 후폭풍…메리츠에 2위 위협
[앵커]
DB손해보험이 금융당국의 무·저해지환급형 상품 해지율 가이드라인 영향으로 보험계약마진 CSM에 직격탄을 맞았는데요. 정종표호 DB손보가 핵심 수익지표인 CSM에서 무리수를 두면서 메리츠화재에 업계 2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DB손해보험이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 등 계리적 가정 변경으로 CSM이 1조원 넘게 감소했습니다.

무·저해지 보험은 보험료가 저렴한 대신 납입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상품입니다. 해지율이 높다고 가정할수록 해지환급금 준비금 부담이 낮아져 이익을 높게 잡을 수 있어 ‘고무줄 회계’ 온상으로 지목돼 왔습니다.

금융당국은 일부 보험사들이 실적을 실제보다 부풀렸다고 보고 지난해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는데, 손해보험사 중 DB손보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겁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손보사 중 해지율 가정 변경으로 CSM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DB손보로, 1조6900억원 감소했습니다. 이익을 부풀리기 위해 해지율을 낙관적으로 가정한 여파입니다.

DB손보와 업계 2위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메리츠화재는 3046억원으로 가이드라인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습니다.

DB손보는 무·저해지 보험 판매 비중이 높은데다 해지율도 실적에 유리하게 부풀린 점이 발목을 잡은 겁니다.

반면 메리츠화재는 무·저해지 상품 비중이 크지 않고 지속적으로 해지율이 낮아지게 설계해 타격이 적었습니다.

이달부터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 가정이 변동되며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보험료가 적게는 1%에서 많게는 30%대까지 인상됐는데, DB손보 역시 두 자릿수까지 보험료 인상에 나섰습니다.

DB손보와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순이익 차이는 고작 600억원 수준.

무·저해지 해지율 가정 변경으로 더 이상 CSM 이익을 유리하게 산출하기 어려워진 DB손보가 메리츠화재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쏠립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취재 권종현 /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도하 기자

itsdoha.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