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소비' 바람…"최저가·중고에만 지갑 연다"
금융·증권
입력 2025-04-19 08:00:08
수정 2025-04-19 08:00:08
김보연 기자
0개
저가 제품 대명사 '다이소', 매출 상승 탄력
'가성비' 뷔페·프랜차이즈도 '북적'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도 역대 최대 실적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불황형 소비’ 바람이 불고 있다.
초저가를 선호하면서 가성비 뷔페와 다이소가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 불황형 소비 확산은 1000원, 2000원 등 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다이소의 매출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애슐리퀸즈도 역대 최대 실적을 찍는 등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생활잡화에서 뷰티, 패션, 건강기능식품까지 파는 다이소는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500~5000원대의 저가 상품 판매만으로 9.3%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유통강자가 된 셈이다. 이마트와 쿠팡이 각각 0%대, 1%대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프리미엄 가성비 뷔페로 주목받고 있는 애슐리퀸즈. 이를 보유하고 있는 이랜드이츠도 지난해 연매출 4705억원, 영업이익 293억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전국 점포 수도 2년 만에 59개에서 111개로 늘어났다.
비싼 외식가격에 지갑을 닫는 사람들이 늘면서, 값싼 가격에 주류를 판매하는 식당도 늘고 있다. 일부 고기 프랜차이즈가 2000원에 소주·맥주를 판매하며 손님을 끌어모으자 주류를 1000원에 판매하는 식당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 중간 유통상을 거쳐 자영업자에게 판매되는 소주·맥주의 최종 도매가가 서울 기준 한 병당 약 1500원인 셈을 감안하면 사실상 마진을 안 남기는 것.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 실적도 역대 최대를 찍었다. 당근마켓의 지난해 매출(별도기준)은 1891억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6억원으로 같은 기간 280% 상승했다. 번개장터도 서비스 론칭 이후 최다 거래 건수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명품 수요가 감소하면서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등 명품 플랫폼 업체들과 하나투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여행 업종 실적엔 빨간 불이 들어온 분위기.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 퀸잇, '2025 럭퀸세일' 론칭…블랙프라이데이 대전 시작
- 토스뱅크, 고령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의료원, 장수 번암면서 의료봉사 펼쳐…주민 건강 직접 챙겨
- 2남원시, 제30회 농업인의 날 '시민과 함께하는 대잔치' 열린다
- 3"100년 된 종이지적, 남원이 다시 그린다"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 4임실군, '2026년 귀농·귀촌 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 5장수군, 청년농업인에게 매달 최대 110만 원 지원
- 6최영일 순창군수, 국회서 '농어촌기본소득 국비 80% 상향' 건의
- 7김치 맛도, 참여 열기도 '아삭'…임실 김장페스티벌 흥행 예고
- 8국립강원전문과학관,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원주 개관
- 9'문화가 답이다' 전해갑 건축가, 국립민속국악원 다담 무대 오른다
- 10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가수 정삼·이청아씨 '위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