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소비' 바람…"최저가·중고에만 지갑 연다"
금융·증권
입력 2025-04-19 08:00:08
수정 2025-04-19 08:00:08
김보연 기자
0개
저가 제품 대명사 '다이소', 매출 상승 탄력
'가성비' 뷔페·프랜차이즈도 '북적'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도 역대 최대 실적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불황형 소비’ 바람이 불고 있다.
초저가를 선호하면서 가성비 뷔페와 다이소가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 불황형 소비 확산은 1000원, 2000원 등 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다이소의 매출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애슐리퀸즈도 역대 최대 실적을 찍는 등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생활잡화에서 뷰티, 패션, 건강기능식품까지 파는 다이소는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500~5000원대의 저가 상품 판매만으로 9.3%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유통강자가 된 셈이다. 이마트와 쿠팡이 각각 0%대, 1%대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프리미엄 가성비 뷔페로 주목받고 있는 애슐리퀸즈. 이를 보유하고 있는 이랜드이츠도 지난해 연매출 4705억원, 영업이익 293억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전국 점포 수도 2년 만에 59개에서 111개로 늘어났다.
비싼 외식가격에 지갑을 닫는 사람들이 늘면서, 값싼 가격에 주류를 판매하는 식당도 늘고 있다. 일부 고기 프랜차이즈가 2000원에 소주·맥주를 판매하며 손님을 끌어모으자 주류를 1000원에 판매하는 식당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 중간 유통상을 거쳐 자영업자에게 판매되는 소주·맥주의 최종 도매가가 서울 기준 한 병당 약 1500원인 셈을 감안하면 사실상 마진을 안 남기는 것.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 실적도 역대 최대를 찍었다. 당근마켓의 지난해 매출(별도기준)은 1891억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6억원으로 같은 기간 280% 상승했다. 번개장터도 서비스 론칭 이후 최다 거래 건수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명품 수요가 감소하면서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등 명품 플랫폼 업체들과 하나투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여행 업종 실적엔 빨간 불이 들어온 분위기.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 다음달 한국 MSCI 편입 앞두고 들썩이는 증권 시장…퍈춞입 후보는
- 코스피 상장사 현금배당 30조…시가배당률 3.05%로 5년래 최고
- 5월 금리 인하론 우세…예대금리 시계는 거꾸로 간다
- 최저가에만 열리는 지갑…상승세 탄 불황형 소비株
- 키움 이어 미래에셋 주문 ‘먹통’…프리마켓 거래 10분간 중단
- 우리銀, 알뜰폰 새이름 우리WON모바일 출시
- 우리금융,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와 함께 다문화가족 지원 나선다
- BNK부산銀·한국 M&A거래소 업무협약…지역기업 성장 지원
- 코스피 2480대 강세 마감…코스닥도 상승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2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3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4민화, 시대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민화의 삶을 사는 손유영 작가
- 5전북대병원, 비수도권 최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 6김철우 보성군수 "지역 미래 인재 위해 아낌없는 교육지원"
- 7"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8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9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10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