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소비' 바람…"최저가·중고에만 지갑 연다"
금융·증권
입력 2025-04-19 08:00:08
수정 2025-04-19 08:00:08
김보연 기자
0개
저가 제품 대명사 '다이소', 매출 상승 탄력
'가성비' 뷔페·프랜차이즈도 '북적'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도 역대 최대 실적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불황형 소비’ 바람이 불고 있다.
초저가를 선호하면서 가성비 뷔페와 다이소가 인기를 끌고 있는 모습. 불황형 소비 확산은 1000원, 2000원 등 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다이소의 매출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애슐리퀸즈도 역대 최대 실적을 찍는 등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생활잡화에서 뷰티, 패션, 건강기능식품까지 파는 다이소는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500~5000원대의 저가 상품 판매만으로 9.3%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유통강자가 된 셈이다. 이마트와 쿠팡이 각각 0%대, 1%대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프리미엄 가성비 뷔페로 주목받고 있는 애슐리퀸즈. 이를 보유하고 있는 이랜드이츠도 지난해 연매출 4705억원, 영업이익 293억원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전국 점포 수도 2년 만에 59개에서 111개로 늘어났다.
비싼 외식가격에 지갑을 닫는 사람들이 늘면서, 값싼 가격에 주류를 판매하는 식당도 늘고 있다. 일부 고기 프랜차이즈가 2000원에 소주·맥주를 판매하며 손님을 끌어모으자 주류를 1000원에 판매하는 식당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 중간 유통상을 거쳐 자영업자에게 판매되는 소주·맥주의 최종 도매가가 서울 기준 한 병당 약 1500원인 셈을 감안하면 사실상 마진을 안 남기는 것.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 실적도 역대 최대를 찍었다. 당근마켓의 지난해 매출(별도기준)은 1891억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6억원으로 같은 기간 280% 상승했다. 번개장터도 서비스 론칭 이후 최다 거래 건수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명품 수요가 감소하면서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등 명품 플랫폼 업체들과 하나투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여행 업종 실적엔 빨간 불이 들어온 분위기.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우리銀 베트남 투자설명회 개최…중소기업 글로벌 도약 물꼬 튼다
- 우리銀, 국민연금 수탁은행에 4회 연속 재선정
- 하나銀·산자부·HL그룹·무보, 美 관세 피해 협력업체 대상 수출금융 지원
- 한양·LS證, 부실 코스닥社 자금조달서 활발한 '팀플레이'
- 보험硏 "500만 치매 시대…한국도 지자체 보험 필요"
- 김병환 금융위원장 조용한 퇴임…"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 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의 길
- 2나눔과 공존의 화합 한마당…제4회 포항시 복지박람회 성황리 종료
- 3포항시, ‘2025 세계지식포럼 포항’ 개최. . .AI수도 도약 선언
- 4포항시, 맛으로 보는 경관푸드 페스타 성황리 개최
- 5영천시, 아동의 목소리 시정에 담다
- 6영천시, 직동지 재해위험저수지 정비사업 추진
- 7경주시, ‘제17회 농촌지도자 회원대회’ 열려
- 8경주시, APEC 붐업 위한 글로벌 페스티벌 개최
- 9경주시, 청년과 시민이 함께하는 ‘제6회 청년의 날 기념행사’ 개최
- 10경주시, 지방재정 효율화 우수사례 발표대회 ‘우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