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삼수생' 케이뱅크의 고심 …시장 냉각기·건전성 관리 변수
금융·증권
입력 2025-05-08 18:50:09
수정 2025-05-08 18:50:09
이연아 기자
0개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올해 세 번째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데 대내외 환경 변화로 고심이 깊은 분위기입니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붙었고, 내부적으로도 건전성 강화와 제휴사인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리스크 해소라는 과제가 제기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 이사회가 지난 3월 기업공개(IPO) 추진을 결의하면서, 세 번째 IPO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케이뱅크는 2022년 IPO 예비심사를 통과했지만 시장 상황을 고려해 상장 계획을 철회한 이후, 지난해 10월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결과를 받으며 또 다시 고배를 마신 바 있습니다.
세 번째 IPO 도전을 앞둔 케이뱅크는 펀더멘털(기초체력) 다지기와 외형 확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케이뱅크의 당기순이익은 128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순익을 기록했고, 가입고객 규모는 1274만명으로 1년 사이 321만명 증가했습니다.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올해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영역을 후순위 대환으로 넓히고, 개인사업자대출 확대와 1000조 규모 기업금융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다만, IPO 세 번째 도전을 앞두고 대내외적 여건은 좋지 않아 내부적으로 고심이 깊습니다.
외형 확장을 위해 선택한 대출 자산 확대는 연체율 상승에 따른 건전성 리스크가 제기됩니다.
지난해 말 기준 케이뱅크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1.83%로 전년 대비 1.05%p 급증했고,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130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5배 이상 늘었습니다.
올해는 환율 변동성 확대와 고관세, 내수부진이 맞물려 대출 상환능력 악화 전망이 이어짐에 따라, 건전성 관리가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상황입니다.
또, 케이뱅크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실명계좌 제휴관계를 통해 급격한 외형 성장에 성공했지만, IPO 과정에서 업비트 수익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 자체 경쟁력으로 승부수를 던져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IPO 대어로 지목된 DN솔루션즈,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최근 상장 철회를 결정하는 등 얼어붙은 IPO시장 상황도 케이뱅크에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닷새째 오르며 장중 3200 돌파…3년 10개월만
- 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IBK투자증권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 예상치 소폭하회 전망"
- '스테이블코인 기대' NHN KCP, 페이코와 시너지 주목
- 새 정부 기조 따라…우리銀, '포용금융 플랫폼' 키운다
- 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주택 시장 과열 진정시켜야"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뤄지나…희비 갈리는 증권株
- '부동산 STO 플랫폼' 루센트블록, 첫 부동산 매각 성사
- BNK부산은행·케이뱅크, 하반기 공동대출 상품 출시 예고
- 포커스에이아이, '크레더 전략적 투자 협약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담이랑 헷갈리는 ‘근막통증증후군’, 한방치료 해볼까?
- 2치약, 크림, 모기기피제…동국제약, 반려동물 헬스케어 위한 캐니시리즈 3종 출시
- 3미분양 감소·가격 상승…울산 신정동 선분양 단지 ‘e편한세상’ 눈길
- 4부산시, 동해선 개통 계기로 동해안권 관광 활성화에 '날개'
- 5‘절개 줄이고 회복 빠르게’…시지바이오, 큐렉소와 척추 수술용 로봇 시스템 고도화
- 6‘백업기사 시스템’ 도입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배송기사 여름 휴가 독려
- 7천지개벽 양주시, 6.27 대책 이후 실수요자 ‘러시’
- 8코스피, 닷새째 오르며 장중 3200 돌파…3년 10개월만
- 9한전KDN, 올시데이터와 친환경 데이터 사업 협약
- 10고려아연, 혹서기 취약계층에 필요 물품·보양식 제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