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반토막·저PBR”…투자자 외면에 K제조업 ‘흔들’
금융·증권
입력 2025-05-23 18:25:48
수정 2025-05-23 18:25:48
김보연 기자
0개
국내 제조업 중추인 정유·화학·배터리 업계의 불황이 길어지는 가운데 이들 업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4배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실적과 상관없이 매도세가 우위를 보이면서 K제조업의 주가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김보연 기잡니다.
[기자]
3년째 이어지는 업황 부진에 국내 제조업 주가도 맥을 못추고 있습니다.
수요 침체에 중국 등 아시아 경쟁업체들과의 가격 경쟁, 관세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대형주들마저 줄줄이 52주 신저가로 추락하고 있습니다.
석유, 화학, 이차전지 모두 전례 없는 위기 속에서 이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오늘(23일)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두 기업의 PBR은 0.4배 수준.
PBR은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PBR이 1배 미만이면 시가총액이 장부상 순자산가치에 못 미칠 정도로 저평가됐다는 의미입니다.
또 다른 석유화학 ‘빅4’인 한화솔루션과 롯데케미칼도 주가 고민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화솔루션은 오늘도 11% 넘게 추락하며 최근 2거래일간 하락률이 22.3%에 달했고,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6월(12일·12만26000원)과 비교해 반토막 수준인 5만원 중반대로 장을 마쳤습니다.
PBR이 0.17배에 불과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도세도 거센 모습입니다.
국내 중추 산업인 자동차 업계도 분위기는 비슷합니다.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한 현대차도 5거래일째 하락하며 17만원대에 정규장을 마감했습니다. 1년 전(5월28일) 29만9500원에 거래됐던 주가는 20만원선이 무너진 지 오래.
지난달 30만원대를 넘어섰던 목표주가도 최저 25만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업황 부진에 주가 하락까지, 국내 제조업을 보는 투자자들의 시선도 차가운 상황이라 업계의 위기감은 갈수록 커질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boyeon@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 퀸잇, '2025 럭퀸세일' 론칭…블랙프라이데이 대전 시작
- 토스뱅크, 고령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의료원, 장수 번암면서 의료봉사 펼쳐…주민 건강 직접 챙겨
- 2남원시, 제30회 농업인의 날 '시민과 함께하는 대잔치' 열린다
- 3"100년 된 종이지적, 남원이 다시 그린다"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 4임실군, '2026년 귀농·귀촌 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 5장수군, 청년농업인에게 매달 최대 110만 원 지원
- 6최영일 순창군수, 국회서 '농어촌기본소득 국비 80% 상향' 건의
- 7김치 맛도, 참여 열기도 '아삭'…임실 김장페스티벌 흥행 예고
- 8국립강원전문과학관,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원주 개관
- 9'문화가 답이다' 전해갑 건축가, 국립민속국악원 다담 무대 오른다
- 10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가수 정삼·이청아씨 '위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