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울리는 특례 상장…"제도 보완이 우선"
금융·증권
입력 2025-05-28 15:04:03
수정 2025-05-28 15:04:03
김보연 기자
0개
거래소, AI 기업 맞춤형 기술특례상장제도 도입 추진
기술 특례 상장사 70% 시가총액 감소
공모가 대비 주가 10분의 1토막 종목도 다수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상장 문턱이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다만 기술특례 상장기업들의 실적과 주가가 대체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 '개미들의 무덤'이 더욱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AI 기업 육성을 위해 맞춤형 기술특례상장제도를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AI 기업들이 상장 후 투자 자금을 보다 수월하게 모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재무 성과가 부족한 AI 기업이 성장 가능성과 기술력만으로 증권시장에 상장해 투자를 유치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특례상장요건'을 추가한단 계획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른바 면밀한 '옥석 가리기'가 전제돼야 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뻥튀기 상장' 논란이 일고 있는 파두를 포함해 최근 10년 동안(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가운데 70% 이상 시가총액이 상장일 당시보다 쪼그라든 상태다. 주가가 90% 이상 빠지면서 시가총액이 10분의 1로 급감한 종목들도 상당수다.
일반적으로 증시(코스피·코스닥 시장)에 입성하기 위해선 회사가 자기자본,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 기준시가총액 등 재무 성과와 외부 감사인의 감사 의견 '적정' 등 외형적 요건을 갖춰야 한다.
다만 증권사가 성장성을 기준으로 추천하는 성장성 특례 등 기술특례 제도로 상장할 경우 이같은 충족 요건이 완화된다.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10년 동안 248개사가 이 제도를 통해 우리 주식 시장에 입성했다. 하지만 이후 대다수 기업의 실적은 좋지 않다. 상장 폐지된 3개사를 제외한 245개사 가운데 172개사(70.2%)가 상장일 당시보다 시가총액이 감소했다.
기술특례 상장 당시 1조원이 넘는 기업가치를 평가받으며, 공모가 3만1000원으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의 전일 종가는 1만630원이다. 공모가를 65.7% 하회하는 수준. 지난해 영업 적자액은 950억원에 달해 '뻥튀기 상장' 논란의 중심에 있다.
리보핵산(RNA) 치료제 및 재생의료 전문기업인 올리패스도 결은 비슷하다. 공모가 2만원에서 1651원(주권매매거래 정지 전 기준)까지 추락했다. 상장 당시 3441억원이었던 시가총액은 90억원으로 97.4%가 빠진 상황이다. 현재 해당 회사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해 거래 정지 중이다.
또 다른 제약·바이오기업인 에스씨엠생명과학(1만7000원→836원)과 유틸렉스(5만원→1314원), 지놈앤컴퍼니(4만원→2550원)의 주가 역시 공모가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재무 상태도 상장 당시 장밋빛 전망과 거리가 멀다. 이 가운데 지난해 영업손실을 기록한 회사는 208개사(84.9%)로 집계됐고, 상장한 지 10년이 지난 기업(15개사) 가운데 영업 적자를 기록한 회사는 무려 80%(12개사)에 달한다.
기술특례 상장 기업의 경우 상장 후 5년간 매출 요건이 유예되나 이후에도 채우지 못할 경우 상장 폐지된다. 투자자들의 주식이 '휴지조각'이 되는 셈이다. 현재 상장 폐지가 확정된 기업은 셀리버리, 유네코,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샘코) 등 3개사다.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알맹이없이 다짐만 드러낸 한국거래소의 AI기업 맞춤형 상장제도는 유력한 대선 후보 공약에 맞춘 포퓰리즘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부산은행, ‘베트남 고엽제 피해자’ 지원금 전달
-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ESG 정교하게 다듬어 미래 준비할 때"
- BC카드, 결제 고객 대상 강원·경상 워터파크 할인 이벤트
- iM금융·다날 업무협약…금융과 핀테크 결합해 시너지 극대화
- 프리드라이프, 카카오헬스케어와 업무협약 체결
- 한국투자증권, 'Npay 증권 간편주문 이벤트' 실시
- 신한카드, 'LG전자 The 구독케어 카드' 출시
- 최윤 OK금융 회장, 몽골 국립대 우수 인재 양성 감사패 받아
- 신한투자, '국내 단기 신용채권 투자 펀드' 판매 개시
- DB손보, '개물림사고 행동교정훈련비 보장' 배타적 사용권 획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관상동맥 막혔을 때…스텐트 vs 수술, 뭐가 더 낫나요?
- 2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대응 관계기관 방문 및 유공자 표창
- 3영덕군 7개 해수욕장, 오는 18일 일제 개장
- 4컨츄리시티즌, ‘전국 청년 로컬 브랜드 소개’ 팝업스토어 성료
- 5N32, ‘롯데백화점 웨딩페어’ 참여
- 6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 7베스트텍, AI-MIT 플랫폼으로 글로벌 실천 사례 제시
- 811번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18년 연속 e커머스 부문 1위
- 9BNK부산은행, ‘베트남 고엽제 피해자’ 지원금 전달
- 10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ESG 정교하게 다듬어 미래 준비할 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