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조원 쓰는 간편결제 시장…몸집 불리기에 오프라인까지
금융·증권
입력 2025-06-06 08:00:08
수정 2025-06-06 08:00:08
김도하 기자
0개
하루 평균 이용금액 1조 돌파…간편결제, 신용카드 턱밑까지
신한카드, 애플페이 도입 공식화…카드사 도미노 예고
카카오는 몸집 불리기…네이버페이, 단말기로 오프라인 공략
오프라인까지 번진 페이 전쟁…하반기 주도권 싸움 본격화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간편지급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 금액은 1조2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간편결제는 전체 지급결제 수단 중 35%를 차지하며 신용카드(41%)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같은 기간 하루 평균 이용 건수는 3072만건으로, 국민 10명 중 6명꼴로 매일 한 번 이상 간편결제를 사용하는 셈이다.
간편결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카드사들도 대응에 나섰다. 신한카드는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애플페이 이용 약관 심사를 통과하며 도입을 공식화했다. 현대카드에 이은 두 번째다. 서비스 개시 시점은 미정이지만, 필드테스트를 마친 뒤 조만간 정식 개시가 예상된다. 업계는 신한카드가 시장에 진입하면 국민카드·하나카드 등 타사로의 확산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빅테크 진영의 움직임도 거세다. 카카오페이는 SSG닷컴의 ‘쓱페이’와 G마켓의 ‘스마일페이’ 인수를 추진 중이다. 두 간편결제 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약 2500만명에 달하며, 인수 금액은 5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페가 온라인 커머스 기반 결제 생태계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란 관측이다.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시장 진출을 위한 오프라인 단말기 개발을 추진 중이다. 기존 온라인 결제 기반에서 벗어나 오프라인 결제 시장까지 선점하기 위해 단말기를 통해 네이버플레이스, 지도, 리뷰, 멤버십 등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 구현할 계획이다. 현재는 온-오프라인 연계 방식의 최종 구현을 두고 내부 검토 단계에 있다.
간편결제 시장의 확산은 현금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와도 맞물려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소비지출 중 현금 비중은 2013년 41.3%에서 지난해 15.9%로 줄었다. 특히 한은 조사에서 지급수단으로 현금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20대 비중은 3%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하반기부터 간편결제 시장의 주도권을 두고 카드사와 빅테크 간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온라인에 집중됐던 페이 시장의 전선이 오프라인으로 확장되면서 결제 단말기와 가맹점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연계 등 전방위 전쟁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정원, KT 일부 스마트폰 문자 암호화 해제…사이버 위협 경고
- 2현대카드, DB손해보험 제휴카드 출시
- 3롯데케미칼, 파키스탄 PTA 생산 자회사 매각…1276억 자금 확보
- 4토스페이먼츠-에스티엘, 구매전용카드 결제 시스템 업무협약 체결
- 5삼성전자, 시네마 LED 오닉스와 함께 美 '아시안 월드 필름 페스티벌' 빛낸다
- 6CU, 美 하와이 1호점 오픈…미주 본격 공략
- 7부산 센텀2지구 1단계 2공구 조성공사 20일 착공…사업 '본궤도' 올라
- 8남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 산림조합 후원으로 김장나눔 본격 추진
- 9한화생명금융서비스-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고용증진 업무협약 체결
- 10KB국민카드, 'KB 알레그로' 첫 정기연주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