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시청 공무원 사칭 사기 피해 발생…주의 당부
전국
입력 2025-06-13 17:23:46
수정 2025-06-13 17:23:46
고병채 기자
0개
광양시청 직원 사칭 가짜 명함 및 공문서 이용한 대납 유도
"의심되면 즉시 확인 요청해야" 광양시, 대표 SNS, 문자 등 통해 예방 활동 강화 예정

시는 그동안 공무원 사칭 피해 예방을 위해 언론 제보, 시 대표 SNS 안내, 유관기관 및 이통장협의회, 각종 사회단체 등을 통해 지속적인 예방 홍보를 실시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시는 유사 사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시민과 업체를 대상으로 강력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사건은 지난 6월 11일 발생했으며, 사칭자는 광양시청 특정 부서의 특정 주무관을 사칭해 피해업체에 전화를 걸고 “8천만 원 상당의 물품 납품이 시급하다”며, 가짜 공무원 명함과 대리구매업체 명함을 문자로 전송했다. 이후 “금액은 시에서 차후 지출 예정이니 우선 대리구매업체에 돈을 입금하고 물건을 대납해 달라”고 요구했고, 피해업체는 이에 응해 총 2,700만 원을 대리구매업체에 입금했다.
이후 피해업체는 의심을 느끼고 알고 지내던 시청 직원에게 사실 여부를 확인했고, 광양시청 직원은 현장에서 피해 사실을 확인한 뒤 피해업체와 함께 광양경찰서를 방문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 들어 광양시청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도매업체에 선금을 요구하고 고가의 물품을 주문한 뒤 이를 수령하지 않고 사라지는 이른바 ‘노쇼(No-show) 사기’ 시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들 사례는 모두 실존 공무원의 이름과 부서를 도용하고, 정교하게 위조된 명함을 통해 신뢰를 얻은 뒤 고가 물품 주문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금전을 요구하거나 입금을 요청하지 않는다”며 “시청에서 진행되는 모든 업무는 반드시 공식 대표전화나 해당 부서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의심스러운 명함이나 공문을 받았을 경우 즉시 시청에 문의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해달라”고 덧붙였다.
광양시는 해당 사기 수법이 반복되고 있는 만큼 시민들에게 주의 문자를 발송했으며, 앞으로도 시 대표 SNS 등 소통 채널과 유관기관, 사회단체와의 협조를 통해 공무원 사칭 사기 관련 정보를 신속히 안내하고 예방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terryko@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박성만 고창군의원, 지방의정봉사대상 수상
- 고창군 폭염대응...고창읍성 등 8곳 양심냉장고 생수지원
- 고창군공무직노동조합, 창립 10주년 기념행사 개최
- 남원추어식품클러스터사업단, 북미 식품박람회 참가…추어기반 제품 홍보
- [문화 4人4色 | 김춘학] 문화다양성을 실험하는 가장 작은 단위, 협동조합
- [영상뉴스] 7개국 41명 외국공무원, 치맥페스티벌 즐기러 대구 방문
- [영상뉴스] 대구 지역 우수 식품기업, 미국시장 공략에 나서
- [영상뉴스] 대구광역시, 자가통신망 군위군까지 연장 개통
- [영상뉴스] 경북도, ‘2025 경상북도 사회적경제 주간 기념식’ 개최
- [영상뉴스] 경북도, 지난해 최악의 고수온 피해 반복 막는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김상민 대표, '2025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 선정
- 2차규근 "청년 안심 주택 임대보증보험 가입 의무화 불구 미가입 속출"
- 3삼성화재, '365연간 해외여행보험' 출시
- 4박성만 고창군의원, 지방의정봉사대상 수상
- 5고창군 폭염대응...고창읍성 등 8곳 양심냉장고 생수지원
- 6고창군공무직노동조합, 창립 10주년 기념행사 개최
- 7남원추어식품클러스터사업단, 북미 식품박람회 참가…추어기반 제품 홍보
- 8문화다양성을 실험하는 가장 작은 단위, 협동조합
- 97개국 41명 외국공무원, 치맥페스티벌 즐기러 대구 방문
- 10대구 지역 우수 식품기업, 미국시장 공략에 나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