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中企 경기전망지수 76.6, 전월대비 1.6p 상승
경제·산업
입력 2025-06-29 12:00:03
수정 2025-06-29 12:00:03
이수빈 기자
0개
중소제조업 5월 평균가동률 전월대비 0.3%p↑
조사 결과 나타난 7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년동월(78.0) 대비로는 1.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7월 경기전망은 전월대비 0.9p 하락한 78.9이며,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2.7p 상승한 75.7으로 나타났다. 건설업(71.5)은 전월대비 5.3p 상승했으며, 서비스업(76.5)은 전월대비 2.1p 상승했다.
제조업에서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84.6→93.9, 9.3p↑)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77.7→83.7, 6.0p↑)를 중심으로 7개 업종이 전월대비 상승한 반면,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84.4→74.7, 9.7p↓) △음료(98.7→91.5, 7.2p↓) 등 16개 업종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6.2→71.5)이 전월대비 5.3p 상승했고, 서비스업(74.4→76.5)은 전월대비 2.1p 상승했다.
서비스업에서 △부동산업(75.7→80.6, 4.9p↑) △도매 및 소매업(70.8→74.2, 3.4p↑) 등 6개 업종이 전월대비 상승한 반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86.3→74.0, 12.3p↓) △운수업(79.6→71.7, 7.9p↓) 등 4개 업종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내수판매(74.9→74.7)은 전월대비 하락한 반면, △자금사정(74.9→76.3) △수출(86.1→87.1) △영업이익(72.6→73.4)은 전월대비 상승했다. 역계열 추세인 고용(96.3→96.5)은 전월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7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 원자재는 개선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에서는 수출은 개선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6월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요인은 ‘매출(제품판매) 부진’(61.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33.3%) △원자재(원재료) 가격 상승(27.5%) △업체 간 경쟁 심화(26.7%)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25년 5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0%로 전월대비 0.3%p 상승했으며, 전년동월대비 2.1%p 하락했다.
기업규모별로 소기업(67.0%→67.1%)은 전월대비 0.1%p 상승한 반면, 중기업(74.8%→75.4%)은 전월대비 0.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유형별로 일반 제조업(69.7%→70.0%)은 전월대비 0.3%p 상승한 반면, 혁신형 제조업(73.2%→73.6%)은 전월대비 0.4%p 상승했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약업계, 비대위 가동… "약가 인하, R&D 위축·수입약 의존 심화시킬 것"
- 임성기재단, 가톨릭대 의대 조미라 교수에 희귀질환 연구비 6억원 지원
- 정진호이펙트, 한부모 가정 돕는 ‘이엉바자회’ 참석
- LS MnM 구동휘, 경영 시험대…2차전지 신사업 ‘불투명’
- “경고등 켜졌는데 계속 비행?”…이스타항공 안전 논란
- 기아, 국내 최초 일반 도로 원격 운전 실증 시연 성공
- “괜히 인수했나”…GS리테일, 요기요 고전에 ‘본업 강화’
- ‘논란 IP’ 또 발목…크래프톤, AOD 서비스 종료
- 롯데건설, 오일근號 출범…재무건전성 회복 ‘사활’
- ‘테슬라 FSD·GM 크루즈’ 韓 상륙…현대차 어디까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