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 제주 동부 축산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EPC 계약
경제·산업
입력 2025-07-07 14:06:33
수정 2025-07-07 14:06:33
김혜영 기자
0개

이도는 이번 사업에서 기본 및 실시설계, 인허가, 설비 조달·시공, 시운전까지 설계·조달·시공(EPC) 전 과정을 수행한다. 특히 무약품 수처리, 폐열 회수 시스템, IC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 등을 통합 적용해, 악취 저감, 온실가스 감축, 운영 효율성 확보까지 도모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147억원 규모로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받아 추진된다. 일일 100톤 규모의 가축분뇨를 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해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한다.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회수해 인근 축사 난방과 혐기성 소화조를 데우는 열원으로 재이용된다. 소화 과정에서 남은 액체는 고형물과 폐수로 분리된다. 고형물은 퇴비로 만들어지고, 폐수는 정화 처리 후 양돈 농가의 용수로 다시 공급되는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도는 이번 사업에 무약품 수처리, 폐열 회수 시스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 등 자체 보유한 친환경 기술력을 집약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목표다. 시설은 올해 착공해 오는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정훈 이도 대표는 “이번 바이오가스 사업 신규 진출을 통해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제주의 청정 브랜드 가치에 기여하고 지역사회와의 상생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지배력 남용’ 구글, 반독점 피고발…“韓 논의 서둘러야”
- “실적악화 여천 NCC 어쩌나”…고민 빠진 한화솔루션
- ‘정상화’ 갈길 먼 한온시스템, 한국타이어 발목 잡나
- 美 관세 폭탄에…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
- ‘DL·현대·GS’ 반등, ‘대우’ 주춤…건설사 2분기 실적 희비
- 이랜드리테일의 헛발질? 비상경영?…“자회사 개편 원점”
-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 충북지역본부 개소식 참석
- 신세계百, 7월 대규모 모피 ‘프리오더’ 행사
- SES AI, 배터리 개발 플랫폼 '분자 우주' MU-0.5 출시
- 한국공항, 대한적십자사 ‘ESG 실천기업’ 캠페인 동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