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부품 15% 관세에…국내 영세업체 ‘한숨’
경제·산업
입력 2025-08-01 17:38:55
수정 2025-08-01 18:34:24
이혜란 기자
0개

[앵커]
앞서 전해드린 대로 조선업의 경우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미국 시장 진출의 청신호가 켜졌지만 다른 업종의 경우 근심이 깊어지는 분위기입니다.
그동안 FTA(자유무역협정)로 무관세 혜택을 받아왔던 자동차 업계의 경우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 부품에도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특히 영세 부품업체들에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인데요. 이혜란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이번 조치가 영세 부품업체들에겐 여전히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미국에 현지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는 완성차들과 달리 대부분의 중소 부품업체들은 국내 생산 후 수출하는 구조인 만큼, 15%의 관세를 그대로 감당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기존에 무관세 혜택을 누려온 한국과 달리 일본·EU는 약 2.5%의 관세를 적용받아왔지만, 이번 협상으로 모두 15%로 통일되면서 한국산 부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부품기업 213곳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6%, 중소업체는 2.2%에 불과합니다. 낮은 수익성 구조 속에서 관세 부담이 더해질 경우, 수익성 악화와 적자 전환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부품 산업은 공급망이 3~4단계로 얽힌 다층적 구조인 만큼,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 부담이 가장 아래 단계의 협력업체에 전가될 우려도 있습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 자동차 부품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지난해 전체 수출의 36.5%가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업계는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연간 약 1조7000억 원 규모의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내 공급망 안정화와 대응력 강화를 위해 부품 현지 조달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완성차 업체들의 조달 전략 변화에 따라, 국내 생산 기반에 의존해온 일부 중소 협력업체는 수출 물량 조정 등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가격 경쟁력 약화와 공급망 변화로 중소업체의 생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정부가 나서 실질적인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무신사, 7년만 BI 변경…브랜드 리빌딩 가속
- 리스크 벗은 카카오엔터, SM엔터와 시너지 극대화
- LG전자, 신용등급 3년만 상향…“印 IPO 흥행·실적개선”
- SK이노베이션, 6000억원 CB 발행…SK온 지분매입
- 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85% …"석유화학 새 도약"
- 동성제약 “인가 전 M&A로 거래재개”…기업 정상화 의지 천명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2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3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4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5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6‘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7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8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9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 10BNK 회장 선임 '깜깜이'…경고장 날린 금감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