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금융·증권
입력 2025-08-01 14:28:49
수정 2025-08-01 14:28:49
강지영 기자
0개
올해 두 번째…"투자자들의 핵심 자산 될 것"

[서울경제TV=강지영 인턴기자] 한화자산운용이 ‘PLUS 고배당주’ ETF(상장지수펀드)의 주당 월 분배금을 78원으로 인상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분배금 인상으로 지난 7월29일까지 ‘PLUS 고배당주’를 매수한 투자자는 8월초 주당 월 분배금 78원을 받게 됐다. 기존에 지급하던 주당 월 분배금인 73원에 비해 5원이 높아졌으며, 분배금 증가율은 6.5%다.
‘PLUS 고배당주’는 이미 지난 5월부터 기존 63원이던 주당 월 분배금을 73원으로 15.9% 인상한 바 있다. 이번 인상은 올해 두 번째로, 기존 63원과 비교하면 분배금 증가율은 23.8%다.
PLUS 고배당주의 분배금 인상은 지난 6월 이뤄진 리밸런싱(정기 종목변경)으로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아진 결과다. ‘PLUS 고배당주’는 최근 리밸런싱에서 현대차·현대엘리베이터·LX인터내셔널을 편입하고, 케이카·HD현대, GS건설을 편출한 바 있다. 기존 보유 종목 역시 리밸런싱 시점 재산정한 예상 배당수익률을 기준으로 비중이 조정됐다.
'PLUS 고배당주'는 매년 6월과 12월 리밸런싱을 진행해, 유동성과 재무 건전성 요건을 만족하는 종목 중 유동시가총액 상위 200 종목을 대상으로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30 종목을 선별해 편입한다. ‘PLUS 고배당주’는 앞으로도 리밸런싱에 따른 예상 배당 수준 변동을 분배금 지급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PLUS 고배당주'는 7월30일 기준 순자산총액 1조 5578억원 규모의 국내주식 배당 ETF 최대 규모 상품이다. 분배금 재투자를 감안한 수정기준가 기준 기간별 수익률은 연초 이후 41.6%, 최근 1년 35.5%, 3년 110.9%, 5년 195.2%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연금을 대체할 수 있는 배당주는 향후 많은 투자자들의 코어(핵심) 자산이 될 것”이라며 “최근 상법 개정안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제도적인 여건을 개선하려는 논의가 이어지면서 배당주에 투자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jiyo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 삼성자산 'KODEX AI전력 ETF 2종' 순자산 1조원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 2美·나토, '나토 자금 활용 美무기 우크라 지원' 계획
- 3美법원, '오토파일럿 사망' 테슬라 책임 인정…"수천억원 배상"
- 4트럼프, 한미정상회담 언제하냐 질문에 "한미관계 훌륭"
- 5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6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7"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8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9‘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10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댓글
(0)